(Last Updated On: 2017-11-22)

카테고리(Category) 등록 및 관리 화면

상품을 나중에 쉽게 검색 가능 하도록 분류하기 위해서 ‘카테고리’를 만들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는 계층구조를 갖을 수 있습니다. 즉, 카테고리 1 하위에 카테고리 1-1, 카테고리 1-2등과 같이 하위 카테고리를 만들어서 계층구조를 갖도록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분류된 카테고리는 메뉴, 상품검색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b Hosting

WooCommerce > Categories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category1

  • Name을 추가합니다.
  • Slug 보통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
  • Parent(옵션) : 만약 상위 카테고리가 있으면 선택 해줍니다. (계층구조를 갖습니다).
  • Description(옵션) : 어떤 디자인테마에서는 여기에 입력된 내용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 Display type :  카테고리 landing page(해당 카테고리를 클릭했을때 보여지는 페이지)가 어떤 형식으로 보여지는 지를 결정해 줍니다.  “Standard” : 해당 디자인테마에서 미리 정해진대로 보여 집니다. “Subcategories” : 해당 카테고리의 서브 카테고리만을 보여 줍니다. “Products” : 해당 카테고리에 등록된 상품만 보여줍니다. “Both” : 서브카테고리들을 보여주고 그 아래에 해당 카테고리에 등록된 상품들을 보여 줍니다.
  • Upload/Add Image(옵션). 어떤 디자인테마 에서는 카테고리가 리스트될때 여기에 등록된 이미지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FLATSOME 디자인테마의 경우 보여집니다).

 

태그(Tag) 등록 및 관리 화면

[fusion_tagline_box backgroundcolor=”” shadow=”yes” shadowopacity=”0.7″ border=”1″ bordercolor=”” highlightposition=”top” content_alignment=”left” link=”” button=”” linktarget=”_self” modal=”” button_size=”” button_type=”” button_shape=”” buttoncolor=”default” title=”태그(Tag)란?” description=”태그(Tag)란? 카테고리와 같이 상품을 묶는 방법입니다. 카테고리와 차이점은 계층구조가 없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TV를 판매하는 웹사이트라면,  카테고리를 브랜드 이름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삼성, LG등..,  또, 삼성의 경우는 LED, OLED등의 TV타입별로 서브 카테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TV의 경우는 화면 사이즈라는 방법으로 상품을 묶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경우 삼성 > LED > 40, 삼성 > OLED > 40등과 같이 카테고리가 복잡해 집니다. 이때 화면사이즈를 태그로 지정하면 보다 쉽게 상품들을 사이즈로 묶을 수 있습니다. 즉, 삼성 이라는 브랜드 이름과 LED 라는 TV타입으로 상품 카테고리를 등록하고, 화면 사이즈는 태그로 40, 50, .. 등과 같이 묶어주면 됩니다. 이와 같이, 묶어주면 향후에 화면 사이즈 태그 ’40’으로 상품을 조회하면 삼성 > LED, 삼성 > OLED, LG > LED, LG > OLED 등 화면 사이즈가 40인 TV는 카테고리에 상관없이 보여지게 됩니다.” margin_top=”0″ margin_bottom=”50″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left” animation_speed=”0.3″ animation_offset=””][/fusion_tagline_box]

WooCommerce > Tags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tag1

 

속성(Attributes)관리 화면

속성은 카테고리와 태그와 비슷하게 상품을 묶어주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조금 쉽게 설명드리면, 상품을 구입할때 해당 상품의 옵션을 말합니다. 예) Color, Size…등
특희, 우커머스에서는 이 속성을 크게 2가지 용도로 사용됩니다.

  1. 우커머스의 기본 위젯(Widget)중 하나인 “WooCommerce Layered Nav“에서 사용됩니다. “WooCommerce Layered Nav“를 사이드바(Sidebar)에 추가하면 등록된 상품속성에 따라서 조건을 가지고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2. 상품속성은 또, 옵션상품(Variable Product)에서 사용됩니다. 옵션상품을 만들려면 상품속성이 먼저 등록되있어야 합니다.

WooCommerce > Attributes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Attribute Name을 줍니다. 예) Color, Size…등
Type 은 나중에 상품구입 화면에서 옵션을 어떻게 선택할 것인지 장법을 결정해주는 것 입니다.
Attribute를 등록하면 화면 우측의 리스트에 나타납니다.
option1

 

위 화면에서 Color 라는 새 Attribute를 추가한 후의 화면 입니다.
아래 화면처럼 우측의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option2

 

아래 화면처럼 Color라는 Attribute에 White, Black, Yellow 라는 3개의 옵션(Term)을 추가한 결과 입니다.option3

 

이렇게 등록된 속성(Attribute)들은 상품등록 화면에서 옵션상품(Variable Product)를 등록할 때 사용됩니다.

Web Ho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