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6 –  SSL 설치 및 웹사이트에 적용 방법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6 –  SSL 설치 및 웹사이트에 적용 방법

사이트그라운드는 가성비가 가장 좋은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회사로써 워드프레스 공식 웹사이트는 물론, 저희도 추천해드리는 웹호스팅 회사 중 하나입니다. 가격은 저렴하면서 워드프레스에 최적화된 웹호스팅 환경과 좋은 성능을 제공해 줍니다. 특희, 각각의 대륙별(미주,유럽,아시아)로 데이터 센터가 있어서 지리적인 거리상 속도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줍니다. 사이트그라운드의 자세한 설명은 SiteGround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 방법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 은 cPanel 이라는 웹호스팅 관리툴(대부분의 외국 웹호스팅 회사들이 제공 합니다)을 제공합니다. cPanel은 복잡한 웹호스팅 서버관리를 쉽고 간편한 UI를 통해서 사용가능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본 시리즈 포스팅은 총 6개의 Part로 나누어서 포스팅 됩니다.

  1. cPanel 접속하기 + 도메인관리 및 연결
  2. 이메일 계정 생성 및 관리
  3. 웹사이트 백업 및 복구 방법
  4. 워드프레스 설치 및 관리
  5. FTP 사용방법 및 파일관리자 사용방법
  6. SSL 설치 및 웹사이트에 적용 방법 (이번포스팅 주제 입니다)

 

SSL이란?  왼쪽의 그림과 같이  웹사이트 주소 앞에 녹색의 자물쇠 와 Secure 라는 단어가 보이면서 https:// 라고 표시되는 것을 말합니다. 한국의 경우는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웹사이트는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브라우져에서 SSL없는 웹사이트에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려고 하면 안전하지 않다는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구글의 검색엔진의 검색결과를 정해주는 알고리즘에도 SSL이 설치 되있지 않으면 검색 순위가 밀리는 불이익을 주도록 하는 규칙이 반영되있습니다.

SSL (Secure Sockets Layer)은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표준 보안 기술중의 하나로 사용자와 서버(웹사이트)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외부의 데이터 절도시도를 막아서 중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는 기술입니다. 보통 쇼핑몰의 경우 결제를 하기 바로 직전에 HTTP://MYDOMAIN.COM 으로 되있던 웹사이트 주소가 결제 버튼을 클릭하면 HTTPS://MYDOMAIN.COM로 변경 되는것을 볼 수 있는데 SSL이 설치되 있기 때문 입니다. SSL은 Free가 아닙니다. 대부분의 경우 별도의 SSL을 구입해서 웹사이트에 설치하게 됩니다. SSL의 가격은 1년 $69 부터 다양 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Free로 SSL을 제공해주는 웹호스팅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 입니다.

 

위 화면과 같이 SECURITY라는 곳에 SSL및 보완관련 기능들을 모아 두었습니다. 여기서는 SSL의 설치 및 웹사이트 적용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트그라운드는 Let’s Encrypt라는 Free SSL을 기본 제공합니다. 설치와 적용도 아주 간단 합니다.
Let’s Encrypt SSL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메인이 먼저 등록되 있어야 합니다. (Addon 도메인, Parked 도메인).

위  Let’s Encrypt 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 처럼 이미 설치되 있는 SSL을 리스트 해주고 그아래 신규 SSL을 추가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위 화면에서 신규 SSL설치를 위해서는 도메인을 선택하고 이메일을 입력한 후 ‘Install’을 클릭해주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설치과정이 진행 됩니다.

 

설치과정이 끝나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완료됬다는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위화면에서 ‘OK’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SSL이 리스트에 추가 됩니다.
아래 화면 처럼 새로 추가된  SSL‘HTTPS Enforce’ 와 ‘External Links Rewrite’ ‘On’ 해주면 SSL 설치 및 웹사이트 적용이 완료됩니다.

 




글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웹사이트가 계속 성장 하도록 작은 도움을 주세요 🙂

여러분의 후원금은 보다 좋은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사용됩니다.

Thank you very much !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5 – FTP 및 파일관리자 사용방법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5 – FTP 및 파일관리자 사용방법

사이트그라운드는 가성비가 가장 좋은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회사로써 워드프레스 공식 웹사이트는 물론, 저희도 추천해드리는 웹호스팅 회사 중 하나입니다. 가격은 저렴하면서 워드프레스에 최적화된 웹호스팅 환경과 좋은 성능을 제공해 줍니다. 특희, 각각의 대륙별(미주,유럽,아시아)로 데이터 센터가 있어서 지리적인 거리상 속도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줍니다. 사이트그라운드의 자세한 설명은 SiteGround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 방법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 은 cPanel 이라는 웹호스팅 관리툴(대부분의 외국 웹호스팅 회사들이 제공 합니다)을 제공합니다. cPanel은 복잡한 웹호스팅 서버관리를 쉽고 간편한 UI를 통해서 사용가능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본 시리즈 포스팅은 총 6개의 Part로 나누어서 포스팅 됩니다.

  1. cPanel 접속하기 + 도메인관리 및 연결
  2. 이메일 계정 생성 및 관리
  3. 웹사이트 백업 및 복구 방법
  4. 워드프레스 설치 및 관리
  5. FTP 사용방법 및 파일관리자 사용방법 (이번포스팅 주제 입니다)
  6. SSL 설치 및 웹사이트에 적용 방법

 

위 회면과 같이 cPanel은 화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FILES’ 라는 곳에 모아두었습니다.
여러분의 PC에서 서버로 화일이나 이미지등을 직접 업로드 하기 위해서는 FTP라는 기능을 이용하게 됩니다.
여러분이 PC내에 있는 폴더에서 폴더로 화일을 복사하고 이동 시키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른점이 있다면, PC 내에서의 화일의 복사나 이동은 인터넷이 연결되 있지 않아도 가능 하지만 서버로 화일을 업로드 하려면 반드시 인터넷이 연결되 있어야 합니다. 또한, PC와 서버간에 화일을 이동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S/W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많이 사용하는 S/W는 Filezilla라는 프로그램인데 Free로 다운로드가 가능 합니다.
여기를 클릭해서 다운로드 받으세요. (다운로드를 받으실 때는 Client용을 다운받으세요)

 

보통은 서버에 화일을 업로드/다운로드 할때 위에서 설명드린 FTP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cPanel에서는 FTP 어카운트를 만들거나 Filezilla가 없이도 화일을 업로드/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File Manager’라는 기능을 제공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File Manager’를 클릭하면 Directory Selection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web root’를 선택하고 ‘Go’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과 같이 ‘File Manger’가 별도의 탭으로 오픈됩니다.
‘Public_html’ 이라는 폴더에는 웹사이트들과 관련된 소스코드 이미지등이 모두 포함되 있습니다. 보통 웹사이트 주소로 폴더 이름이 만들어집니다. 예를들어 웹사이트 주소가  mypage.com 이라면 폴더이름도 mypage.com 이라고 만들어집니다. 또한 ‘GrowBig’이상의 플랜에서는 여러개의 웹사이트를 하나의 어카운트 안에서 만들수 있기 때문에 여러개의 폴더들이 보여 질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Public_html’  하위에 있는 모든 폴더들이 오른쪽 창에 나타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File Manager’의 각각의 기능들은 화면 상단에 나타나는 아이콘들을 확인 하시면 됩니다. 아래 화면을 보시면 여러가지 기능들이 있습니다. 특희, ‘Upload’ 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입니다. 예를들어 워드프레스 커스터마이징을 위해서 소스코드를 수정해서 서버에 업로드하는 경우등에 주로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사실 이번 포스팅은 초급 사용자 보다는 고급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화일을 다운받지 않고 직접 수정하는 기능도 지원됩니다. ‘Code Editor’‘HTML Editor’를 이용하시면 가능 합니다. 그러나, 편리하게 수정이 가능한 반면, 본인이 확실히 수정 후의 결과를 알 수 없으면 이 방법은 위험합니다. 안전하게 수정하시는 방법은 수정을 원하는 화일을 다운로드 후 Local (내PC)에서 수정한 후 다시 업로드 하는방법 입니다.

 

‘Legacy File Manager’는 이전 cPanel에 포함되 있던 ‘File Manager’입니다. 바로 전에 설명드린 ‘File Manager’를 이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이전 버젼에 익숙한 사용자들을 위해 남겨놓은 기능이기 때문에 무시하셔도 됩니다.

 

‘Disk Space Usage’는 현재 사용중인 저장 공간을 상세하게 리포트 해주는 기능 입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현재 사용량 및 사용가능한 공간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FTP’‘File Manager’와는 다른 방식으로 서버에 화일을 업로드/다운로드 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FTP Account를 만들고 FTP 전용 S/W를 이용해서 서버와 화일을 주고 받게 됩니다.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File Manager’에는 없는 대량 화일 전송기능이 있고  전용 S/W를 통해서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분들의 경우는 이미 그 장점을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Primary  도메인등록 (호스팅 어카운트 구입시 자동 생성), Addon 도메인 등록, Parked 도메인을 등록하면 FTP Account가 해당 도메인으로 자동으로 만들어 집니다. 추가적으로 어카운트가 필요하면 ‘Add FTP Account’기능을 통해서 추가 합니다.

아래 화면은 개별 FTP Account에 대한 설명 입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비밀번호변경, 사용량 변경, FTP S/W설정 방법 안내 기능등을 제공 합니다.

 




글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웹사이트가 계속 성장 하도록 작은 도움을 주세요 🙂

여러분의 후원금은 보다 좋은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사용됩니다.

Thank you very much !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4 – 워드프레스 설치방법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4 – 워드프레스 설치방법

사이트그라운드는 가성비가 가장 좋은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회사로써 워드프레스 공식 웹사이트는 물론, 저희도 추천해드리는 웹호스팅 회사 중 하나입니다. 가격은 저렴하면서 워드프레스에 최적화된 웹호스팅 환경과 좋은 성능을 제공해 줍니다. 특희, 각각의 대륙별(미주,유럽,아시아)로 데이터 센터가 있어서 지리적인 거리상 속도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줍니다. 사이트그라운드의 자세한 설명은 SiteGround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 방법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 은 cPanel 이라는 웹호스팅 관리툴(대부분의 외국 웹호스팅 회사들이 제공 합니다)을 제공합니다. cPanel은 복잡한 웹호스팅 서버관리를 쉽고 간편한 UI를 통해서 사용가능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본 시리즈 포스팅은 총 6개의 Part로 나누어서 포스팅 됩니다.

  1. cPanel 접속하기 + 도메인관리 및 연결
  2. 이메일 계정 생성 및 관리
  3. 웹사이트 백업 및 복구 방법
  4. 워드프레스 설치 및 관리  (이번포스팅 주제 입니다)
  5. FTP 사용방법 및 파일관리자 사용방법
  6. SSL 설치 및 웹사이트에 적용 방법

 


cPanel을 이용해서 많이 사용되는 CMS들을 간편하게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위에 보시는 바와 같이 WordPress  이외에도 Joomla, Magento, PrestaShop등도 설치가 가능 합니다. cPanel을 이용해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 합니다. 위 회면과 같이 ‘AUTOINSTALLERS’에서WordPress 아이콘을 클릭 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이 나타납니다.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신 후 ‘Install’을 클릭 하시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설치 후에는 입력하신 Admin 이메일로 웹사이트의 관리자 접속 정보가 보내 집니다.




글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웹사이트가 계속 성장 하도록 작은 도움을 주세요 🙂

여러분의 후원금은 보다 좋은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사용됩니다.

Thank you very much !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3 – 웹사이트백업 및 복구방법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3 – 웹사이트백업 및 복구방법

사이트그라운드는 가성비가 가장 좋은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회사로써 워드프레스 공식 웹사이트는 물론, 저희도 추천해드리는 웹호스팅 회사 중 하나입니다. 가격은 저렴하면서 워드프레스에 최적화된 웹호스팅 환경과 좋은 성능을 제공해 줍니다. 특희, 각각의 대륙별(미주,유럽,아시아)로 데이터 센터가 있어서 지리적인 거리상 속도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줍니다. 사이트그라운드의 자세한 설명은 SiteGround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 방법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 은 cPanel 이라는 웹호스팅 관리툴(대부분의 외국 웹호스팅 회사들이 제공 합니다)을 제공합니다. cPanel은 복잡한 웹호스팅 서버관리를 쉽고 간편한 UI를 통해서 사용가능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본 시리즈 포스팅은 총 6개의 Part로 나누어서 포스팅 됩니다.

  1. cPanel 접속하기 + 도메인관리 및 연결
  2. 이메일 계정 생성 및 관리
  3. 웹사이트 백업 및 복구 방법 (이번포스팅 주제 입니다)
  4. 워드프레스 설치 및 관리
  5. FTP 사용방법 및 파일관리자 사용방법
  6. SSL 설치 및 웹사이트에 적용 방법

 

웹사이트백업 및 복구는 웹사이트 운영시 아주 중요한 기능 입니다. 예상치 못한 일로 웹사이트의 데이터가 손실 되거나 웹사이트 자체가 다운 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악의 경우, 백업을 받아놓지 않았다면 처음부터 웹사이트를 다시 만들어야하는 상황이 올 수 도 있습니다. 따라서 웹사이트 백업 및 복구 방법을 익혀두시면 향후 문제 발생시 큰도움이 되실 것 입니다.

사이트그라운드의 플랜중 ‘StartUp’의 경우는 백업 및 복구기능이 제한적입니다. 매일 자동으로 1 Copy를 백업을 해줍니다. 즉, 오늘 웹사이트에 문제가 생기면 어제 밤 10시~11사이에 백업된 데이터를 가지고 복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다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GrowBig’  플랜의 백업 및 복구 기능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위 화면과 같이 백업 및 복구를 위해서는 cPanel의 BACKUPS MANAGER에서 작업을 처리하게 됩니다.

 

 수동 백업 기능

 

‘GrowBig’플랜 이상에서는  현재로 부터 30일 이전까지의 데이터를 항상 자동으로 백업 해 줍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직접 일상적인 백업을 해야 할 필요가 없습니다.  (‘StartUp’ 플랜의 경우는 하루전의 데이터만 백업을 해줍니다.)
여기에서 설명드릴 내용은 특별한 목적의 백업을 받고 그것을 다시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립니다.  예를들어, 사이트를 대대적으로 수정을 해야하는 경우 혹시 문제가 생기면 수정 작업을 하기 전 상태로 웹사이트를 복구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이기능을 사용하게 됩니다. 다시 말씀 드리지만, 일반적인 경우에는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셔도 문제가 없습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크게 2가지 방식으로 백업이 가능 합니다.

  • 전체백업 : 아래 화면에서 (1)번에 해당합니다. 호스팅 어카운트 전체의 백업을 받는 것 입니다.
  • 필요한 부분만 백업 : 아래 화면에서 (2)번과 같이 필요한 부분, 예를들어 화일과 폴더들, 데이터 베이스 등을 각각의 웹사이트 별로 다운을 받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보통 이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렇게 복구 받은 백업 데이터는 (2)번 항목의 오른쪽 과 같이 복구가 가능 합니다.
  • 백업은 온라인상의 저장공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본인의 컴퓨터에 .ZIP형태의 화일로 다운로드 받게 됩니다.

 

 

자동백업 및 간편복구 기능

이 기능을 통해서 자동으로 백업 받은 데이터를 복구 할 수 있습니다. 자동백업은 항상 현재 일자기준 30일 이전까지의 백업을 날짜 별로 저장하게 됩니다. 언제든지 본인이 원하는 시점으로 자료를 복구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복구를 할때는 항상 조심을 하셔야 합니다. 복구를 하는 순간 현재의 데이터는 백업 시점의 데이터로 돌아가고 다시 복원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복구는 꼭 필요한 경우에 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구작업은 화일 및 폴더,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해서 복구 할 수 있습니다.

‘Backup restore’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먼저 복구할 백업의 날짜를 선택 한 후 클릭합니다. 보통은 가장 최근의 날짜를 선택하게 됩니다.

 

날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상세 정보가 나타나는데 그곳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백업받을 부분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은 ‘Files’를 선택한 경우 입니다.
‘Files’를 클릭하면 하단에 복구할 화일및폴더를 상세하게 선택하는 부분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아래와 같이 ‘public_html’폴더를 다시 한번 클릭 합니다. (여러개의 웹사이트가 있는 경우 특정 웹사이트만 선택하는 경우 입니다)
여기서 주의 할점은 절대로 ‘Full Account’ 를 선택하지 말고 꼭 필요한 화일및폴더 혹은 데이터베이스만을 선별해서 복구를 하셔야 하는점 입니다. ‘Full Account;를 선택하면 복구를 원치않는 부분까지 전부 현재 데이터가 지워지고 선택한 백업 날짜로 데이터가 돌아 갑니다. 이 부분은 반드시 주의를 해서 선택을 하세요.

그러면 아래 화면과 같이 각각의 웹사이트 별로 xxxxxxxxx.com과 같이 폴더가 만들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거기서 원하는 웹사이트를 선택한 후 ‘Restore’를 클릭하면 화일및폴더가 복구 됩니다.




글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웹사이트가 계속 성장 하도록 작은 도움을 주세요 🙂

여러분의 후원금은 보다 좋은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사용됩니다.

Thank you very much !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2 – 이메일 설정 및 관리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2 – 이메일 설정 및 관리

사이트그라운드는 가성비가 가장 좋은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회사로써 워드프레스 공식 웹사이트는 물론, 저희도 추천해드리는 웹호스팅 회사 중 하나입니다. 가격은 저렴하면서 워드프레스에 최적화된 웹호스팅 환경과 좋은 성능을 제공해 줍니다. 특희, 각각의 대륙별(미주,유럽,아시아)로 데이터 센터가 있어서 지리적인 거리상 속도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줍니다. 사이트그라운드의 자세한 설명은 SiteGround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 방법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 은 cPanel 이라는 웹호스팅 관리툴(대부분의 외국 웹호스팅 회사들이 제공 합니다)을 제공합니다. cPanel은 복잡한 웹호스팅 서버관리를 쉽고 간편한 UI를 통해서 사용가능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본 시리즈 포스팅은 총 6개의 Part로 나누어서 포스팅 됩니다.

  1. cPanel 접속하기 + 도메인관리 및 연결
  2. 이메일 계정 생성 및 관리 (이번포스팅 주제 입니다)
  3. 웹사이트 백업 및 복구 방법
  4. 워드프레스 설치 및 관리
  5. FTP 사용방법 및 파일관리자 사용방법
  6. SSL 설치 및 웹사이트에 적용 방법

 

이메일관리 기능들은 위 화면과 같이 ‘MAIL’ 이라는 Section에 모아 두었습니다.

이메일서비스를 받는 경우는 몇가지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GMAIL  혹은 DAUM, NAVER 메일등과 같이 Public한 메일이 아닌 여러분의 도메인이름이 뒤에 붙은 이메일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 입니다. 예를들면 도멘인 이름이 mydomainname,com 이면 info@domainname.com 과 같은 이메일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 입니다. Public 이메일을 사용하는 경우는 이와같은 설정을 하 실 필요가 없습니다.

  1. 사이트그라운드의 이메일 서비스 사용
  2. 구글의 비지니스 이메일 서비스 사용
  3. 다른 웹호스팅 회사의 이메일서비스 사용 ( 예, 카페24 )

위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설정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위 3가지 시나리오를 가지고 설명을 하겠습니다.

 

 사이트그라운드의 이메일 서비스 사용

사이트그라운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DNS설정이나 MX Record설정등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Pimary 도메인, Addon 도메인, Parked 도메인을 등록하면 자동으로 사이트그라운드 이메일 설정이 됩니다. 이메일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등록 및 웹메일 프로그램 선택 (3개중 하나)을 하신 후 웹메일 주소를 내 브라우져에 북마크만 해 두시면 됩니다.

그럼 이메일 어카운트 등록 부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Email Accounts : 이메일 어카운트를 등록하는 기능 입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도메인을 선택 하시고 원하는 이메일 아이디를 입력 하신 후 비밀번호 설정 사용공간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사용 공간은 한 어카운트당 최대 4GB까지 입니다. 등록된 이메일은 화면 하단에 리스트 됩니다. 

위와 같이 만들어진 이메일에 접속을 하려면 아래 설명을 참조하세요.

Webmail :처음에 한번만 아래 화면과 같이 처리하고 그후에는 북마크된 링크를 통해서 이메일을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Webmail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화면 중앙에 있는 Log In to Webmail 을 클릭하세요

 

그러면 아래와 같이 두개 중 한가지의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1) 이미 로그인이 되있는 경우, 아래 화면 처럼 3개중 하나의 이메일  S/W를 선택해서 이메일을 사용합니다. 나중에 변경도 가능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현재 주소(URL)을 북마크 해두세요.

(2) 로그인이 않되 있는 경우, 이메일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 신 후 로그인을 하세요. 이메일을 입력할때는 뒤의 도메인 주소까지 전부 입력하셔야 합니다. 예)  info@mydomainname.com. 로그인 후에는 위 (1)번의 경우와 같이 3가지 이메일 S/W중 하나를 선택 하세요.

아래는 실제 이메일 화면 입니다. 여기서는 ‘Horde’ 라는 S/W를 선택한 경우 입니다. 

이메일 사용 방법은 별도의 설명을 추가하지 않아도 이미 잘 아 실 것이라 생각하고 Skip 하겠습니다.

 

 

구글비지니스 이메일 서비스 사용

사이트그라운드 에서는 구글의 G Suite 을 쉽게 설정하 실 수 있습니다. 구글 G Suite는 여러분의 도메인 이름이 뒤애 붙는 이메일을 제공해 줍니다. 예를 들어 도메인이름이 mydomainname.com 이면  info@mydomainname.com, support@mydomainname.com 과 같은 이메일을 사용하 실 수 있습니다.

구글 G Suite (이전에는 구글 비지니스 이메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은 아주 안정적이고 풍부한 기능을 가진 이메일 서비스 입니다. 이메일이 해킹되는 경우나 도용되는 경우도 거의 없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 합니다. 카렌더기능, Document기능, Cloud Storage(웹하드)기능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무엇보다 여러분의 도메인이름이 뒤에 붙는 이메일을 제공 함으로써 비지니스의 신뢰도를 보다 높여 줍니다.

몇년전 까지만 해도 Free로 서비스를 제공했었는데 이제는 사용 비용을 내셔야 합니다. 가격은 사용자 어카운트 하나 당 한달 $5 ~ $25까지 입니다. $5짜리 옵션만 만 사용해도 충분합니다.
각각의 플랜에 대한 비용이나 제공되는 기능들 관련 자세한 내용과 가입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먼저 가입을 하신 후에 아래 설정이 가능 합니다.

구글 G Suite의 설정 과정은 사이트그라운드와 구글을 넘나들면서 설정을 하는 절차로 진행이 됩니다.

이부분은 이미 잘 설명된 Tutorial 이 있기 때문에 해당 링크로 설명을 대신 합니다.

조금 긴 과정이기는 하지만 천천히 따라하시면 충분히 설정을 마치실 수 있습니다. 모든 과정은 구글에서 여러분이 해당 도메인의 주인이 맞는지 확인하는데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이해 하시면 좋습니다. 아래 영문과 한글 링크를 참조하셔서 설정을 따라헤보세요.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의 경우 구글이 자동으로 인지해서 사이트그라운드에 맞는 설정을 제안해 줍니다.

(영문) https://support.google.com/a/answer/6169499?hl=en (사이트그라운드를 통한 G Suite을 바로 설명합니다.)

(한글) https://support.google.com/a/answer/1186224?hl=ko (설정 마법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이트그라운드를 선택해서 설정을 진행 합니다.)

 

 

 

다른 웹호스팅 회사의 이메일서비스 사용.

웹사이트는 사이트그라운드에서 호스팅을 받고 이메일 서비스는 다른 회사에서 사용하는 경우 입니다. 예를들어 한국의 카페24 웹호스팅에서 이메일 서비스를 받는 경우를 예로들 수 있습니다.  위 (2)번의 구글 G Suite 을 사용하는것과 동일 한 방식입니다. 단, 차이점은 구글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비스 이기때문에 설정등이 많이 자동화 되있는데 반해서 일반 웹호스팅 회사들은 해당 웹호스팅 회사의 설정에 맞도록 사이트그라운드의 이메일 및 DNS 설정을 변경 해야 한다는 점 입니다.

이메일 서비스만은 다른 웹호스팅 회사의 서비스를 받으려면 사이트그라운드에서 2가지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상세한 설정 방법은 웹호스팅 회사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여기서는 카페24를 예로들어 설명 드리겠습니다. 자세한 설정 방법은 이메일 서비스를 받는 웹호스팅 회사에 문의하시면 잘 알려 줄 것입니다.

  1. DNS 설정 : 사이트그라운드 DNS에 A Record를 추가 합니다.  A Record를 입력하기 위한 IP Address 및 이름 (예를들어, email.mydomainname.com, webmail.mydomainname.com, mail.mtdomainname.com등과 같이 회사 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정보는 이메일 서비스를 받는 웹호스팅회사에 문의 하셔야 합니다.
    • A Record 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cPanel의 ‘DOMAIN’ Section 중 Advanced DNS Zone Editor 관련 내용을 참조하세요.  해당 포스팅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해당 포스팅의 가장 마지막 부분을 보시면 됩니다.)
  2. MX Record설정 : 이메일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웹호스팅 회사의 MX Record를 사이트그라운드에 입력해야 합니다. 이때, 기존에 사용중 혹은 기본으로 설정되 있는 MX Record들은 모두 삭제를 해야 합니다.
    • Advanced MX Editor를 클릭하시면 아래화면이 나타납니다.
    • 도메인을 선택한 후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1 – cPanel 접속하기 + 도메인 관리 및 연결

사이트그라운드 cPanel 사용방법 Part1 – cPanel 접속하기 + 도메인 관리 및 연결

사이트그라운드는 가성비가 가장 좋은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회사로써 워드프레스 공식 웹사이트는 물론, 저희도 추천해드리는 웹호스팅 회사 중 하나입니다. 가격은 저렴하면서 워드프레스에 최적화된 웹호스팅 환경과 좋은 성능을 제공해 줍니다. 특희, 각각의 대륙별(미주,유럽,아시아)로 데이터 센터가 있어서 지리적인 거리상 속도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줍니다. 사이트그라운드의 자세한 설명은 SiteGround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 방법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 은 cPanel 이라는 웹호스팅 관리툴(대부분의 외국 웹호스팅 회사들이 제공 합니다)을 제공합니다. cPanel은 복잡한 웹호스팅 서버관리를 쉽고 간편한 UI를 통해서 사용가능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본 시리즈 포스팅은 총 6개의 Part로 나누어서 포스팅 됩니다.

  1. cPanel 접속하기 + 도메인관리 및 연결 (이번포스팅 주제 입니다)
  2. 이메일 계정 생성 및 관리 
  3. 웹사이트 백업 및 복구 방법
  4. 워드프레스 설치 및 관리
  5. FTP 사용방법 및 파일관리자 사용방법
  6. SSL 설치 및 웹사이트에 적용 방법

 

cPanel 접속하기

먼저 사이트그라운드로 이동하신 후 로그인을 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My Account’를 클릭 합니다.

 

그런후,   ‘Go to cPanel’을 클릭 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과 같이  ‘cPanel 메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도메인관리 및 연결

 

위 화면과 같이 cPanel에서는 도메인을 관리하는 기능들을 별도의 ‘DOMAINS’ 라는 Section으로 모아 두었습니다.
위 기능들을 하나씩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Subdomains : 서브도메인이란? 메인도메인 앞에 나타나는 이름입니다. 예를들어 www.mydomain.com 이라는 메인 도메인이 있는데 여기에 ‘store’ 이라는 서브도메인을 새로 만들고 여기에 새로운 웹사이트를 메인 웹사이트와 별도로 만들 수 있습니다.  서브도메인에 있는 웹사이트로 연결 하려면주소를  store.mydomain.com 으로 입력 하시면 됩니다.

서브도메인을 추가 하려면 Subdomains 버튼을 클릭 합니다. 아래 화면 처럼 서브도메인을 추가하려는 메인 도메인(여러개의 도메인을 사용중인 경우)을 선택 한 후 서브 도메인 이름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이때, Document Root를 통해서 해당 서브도메인이 사용 할 폴더를 새로 만들게 됩니다. 아래의 예는 ‘wp-howto.com’ 이라는 메인 도메인에  ‘store’라는 서브도메인을 만들면서  ‘store’라는 폴더를 새로 만드는 경우 입니다.  보통 Web root directory에 서브도메인이름을 사용해서 자동으로 제안을 해 줍니다. 폴더이름을 변경하고자 할때만 아래 ‘public_html/’ 이후의 이름을 변경하시면 됩니다.

 

Addon Domains : Primary 도메인(웹호스팅 구입시 설정한 도메인이름) 이외에 추가적으로 새로운 도메인을 추가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도메인을 이미 다른 곳에서 구입하신 후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을 통해서 웹사이트, 이메일, FTP등의 서비스를 받으시는 경우에 사용하시는 기능 입니다. Addon 도메인을 등록하면 다음과 같은 일들이 가능 합니다.

  •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을 통해서 해당 도메인으로 웹사이트를 만들고 운영 할 수 있습니다.
  •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을 통해서 해당 도메인으로 이메일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을 통해서 해당 도메인으로 FTP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Addon Domain을 추가 하시려면 Addon Domains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은 ‘mydomainname.com’이라는 도메인을 추가하는 예를 든 것입니다.
New Domain Name : 새로추가하려는 도메인 이름을 ‘www’ 혹은 ‘http://’를 제외하고 도메인 이름만 입력 합니다.
Subdomain or FTP Username : 위에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변경도 가능 합니다만, 향후에 혼돈이 될수도 있으니 그대로 두시는것이 좋습니다.
Document Root : 해당 도메인이 사용할 폴더를 자동으로 지정해 줍니다. ‘/public_html/’ 이라는 Web root directory에 ‘mydomainname.com’이라는 도메인이름으로 폴더를 만들어 줍니다.
Password : 비밀번호를 입력하시고 다시 한번 확인 입력 합니다.
Add Domain : Add Domain 버튼을 클릭하면 Addon Domain의 등록이 완료 됩니다.

(참조) Addon Domain을 추가 하려면 이미 도메인 구입을 해두셔야 합니다. 이미 구입한 도메인을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에 연결하는 기능이 Addon Domains기능 입니다. 

(중요) Addon Domain을 추가 하려면 도메인을 구입하신 Regieter회사에서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로 변경을 해주셔야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Simple DNS Zone Editor 와 Advanced  DNS Zone Editor에서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Parked Domains : Parked 도메인이란?  다른 도메인이름을 가지고 같은 웹사이트로 보여지게 할때 사용하는 기능 입니다. 예를들어 내 메인 웹사이트 주소가  www.mydomainname.com 이라고 가정하고  www.mydomainname2.com을 입력해도 www.mydomainname.com으로 자동으로 이동되게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경우도 해당 도메인은 이미 구입이 되있어야 하고 네임서버도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로 세팅이 되있어야 합니다.

아래 화면 처럼 Parked 도메인을 등록하고 Redirect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Redirects : Parked 도메인 혹은 Addon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다른 도메인이름을 가지고 같은 웹사이트로 보여지게 할때 사용하는 기능 입니다. 예를들어 내 메인 웹사이트 주소가  www.mydomainname.com 이라고 가정하고  www.mydomainname2.com을 입력해도 www.mydomainname.com으로 자동으로 이동되게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화면은 ‘testmydomainname.com’이라는 도메인 이름을 ‘mydomainname.com’으로 redirect하는 예 입니다. 즉, 사용자가 브라우져에서 ‘testmydomainname.com’이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mydomainname.com’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주의) Redirect to 도메인이름을 입력할때는 도메인 이름앞에 ‘http://’를 입력해 야 합니다. 이렇게 설정한 Redirect는 향후에 필요가 없을때는 삭제도 가능합니다.

 

Domain Transfer : Domain Transfer는  다른 Register 회사에 등록된 도메인이름을 사이트그라운드로 이전해 오는 기능 입니다. Domain Transfer는 그 과정이 상당히 복잡합니다. Addon Domain등록을 통해서 이미 도메인의 컨트롤을 사이트그라운드로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에 Domain Transfer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Register New Domain : Register New Domain은  새로운 도메인을 등록하는 기능 입니다. .com 도메인의 경우 1년 $14.95에 사용이 가능 합니다. co.kr 혹은 .kr은 구입 할 수 없습니다. co.kr 혹은 .kr은 한국의 도메인등록 회사에서 구입 한 후 Addon Domains 기능을 통해서 사이트그라운드로 컨트롤을 가져와서 사용하게 됩니다.

아래 화면에서 Choose Domain에 원하는 도메인이름을 입력 후 Check Domain을 클릭 합니다.

만약 입력하신 도메인이름이 구입 가능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CHOOSE YOUR SERVICE: 이미 웹호스팅 서비스를 구입하신 경우이기 때문에 ‘Register the Domain Name only‘ 를 클릭 합니다.
PRODUCT INFORMATION: ‘Domain Privacy’ 옵션의 체크를 해제 합니다.
PAY NOW를 클릭 합니다.

 

Domain ID Protect : 기본적으로 도메인 등록자의 정보는 공개가 원칙 입니다. 그러나,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 정보를 공개하지 않기를 원하시는 경우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보통 한달 $1정도의 비용을 부과하고 서비스를 제공해 줍니다.

 

Domain Manager : 현재 사이트그라운드 호스팅 어카운트에 등록되 있고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모든 도메인을 리스트 해줍니다.

 

Simple DNS Zone Editor : DNS란? 보통 한국에서는 네임서버라고 표현합니다. 네임서버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도메인이름(URL)을 가지고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버를 말합니다. 즉,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를 사용한다고 도메인을 등록한 회사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한국의 가비아라는 도메인 등록 회사에서 도메인을 구입하고 웹호스팅 서비스는 사이트그라운드를 사용 하는 경우에는 가비아의 도메인 설정 정보에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 정보를 입력 해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도메인을 브라우져에 입력하면 가비아의 도메인등록 초기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것 입니다.
조금 설명이 복잡해 졌는데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 정보를 가비아에 입력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참조) Simple DNS Zone Editor의 사용 방법은 Advanced DNS Zone Editor에서 모두 커버를 하기 때문에 생략 합니다.

 

Advanced DNS Zone Editor : 이기능을 통해서 네임서버의 상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웹사이트는 사이트그라운드에서 서비스를 받고 이메일은 다른 회사에서 서비스를 받는다면 여기서 이메일 관련 A record 를 이메일 서비스 회사에서 제공한 정보대로 추가하고 part2에서 설명드릴 EMAIL 관련 Section에서 MX Record를 추가하면 됩니다. 이와 같이 도메인이 어떤 서비스를 어떻게 받는지를 설정 해주는 기능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먼저 아래 화면에서 DNS 설정을 변경하기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도메인을 선택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원하는 Type의 Record를 등록 해주면 화면 하단의 리스트에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아래화면의 Type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A Record 와 CNAME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A Record : 하나의 IP Address에 지정된 이름 입니다. 즉, mail 이라는 이름을 내 도메인을 통해서 특정 IP Addres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지정하도록 설정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mail.mydomainname.com을 입력하면 사이트그라운드가 아닌 다른 이메일 서비스 회사의 서비스를 사용 가능 한 것 입니다. 이때 IP Address는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정보를 제공 합니다.
  • CNAME : A Record가 하나의 IP Address에 지정된 이름인 반면, CNAME은 이미 등록된 이름에 다른 이름을 또 지정하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쉽게 이해가 가능 합니다. 브라우져에서 mydomainname.com 이라고 입력하면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오픈되는데 www.mydomainname.com이라고 입력하면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고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경우 www을 CNAME으로 등록 해주면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나타납니다. 여기서 mydomainname.com은 A Record로 지정되 있는 상태이고 이것을 CNAME으로 다시 지정 한 것입니다.
  • 잘 이해가 가지 않으 실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서비스를 실제로 어떤 값을 입력해야 하는지를 서비스 제공 회사에 문의 하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사이트그라운드에서 웹사이트는 서비스를 받는데 이메일 서비스는 카페24에서 받는다면 카페 24에  DNS 설정을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지를 문의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