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 테마 프리미엄을 선택해야 하는 7가지 이유

아스트라 테마 프리미엄을 선택해야 하는 7가지 이유

시작하면서

아스트라테마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워드프레스 무료테마 중 하나입니다.

물론 무료테마로도 충분히 쓸만한 디자인테마 이지만, 프리미엄 버젼을 사용하는 경우 워드프레스 웹사이트의 기능 및 디자인 그리고 성능(속도)을 더욱 향상 시켜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스트라테마의 프리미엄 버젼을 사용하면 여러분이 얻을 수 잇는 장점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자인 및 레이아웃 커스터마이징

글로벌 색상 및 글꼴 설정

유료 버전에서는 사이트 전체에 대한 색상 및 글꼴을 한 곳에서 설정할 수 있어, 일관된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헤더 및 푸터 빌더

유료 버전에서는 드래그 앤 드롭 인터페이스를 통해 헤더 및 푸터를 쉽게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블로그 레이아웃

유료 버전에서는 블로그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다양하게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습니다.

 

프리미엄 데모 사이트

프리미엄 데모 사이트 접근

유료 버전에서는 다양한 업계와 용도에 맞춰 디자인된 프리미엄 데모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데모 사이트 임포트

유료 버전에서는 데모 사이트의 콘텐츠, 설정, 위젯 등을 쉽게 임포트할 수 있습니다.

데모 사이트 커스터마이징

유료 버전에서는 데모 사이트의 디자인 및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우커머스 통합

고급 상품 페이지 디자인

유료 버전에서는 상품 페이지의 디자인을 고급 옵션을 통해 조절할 수 있습니다.

상품 필터링 및 정렬 기능

유료 버전에서는 상품을 다양한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정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체크아웃 페이지 커스터마이징

유료 버전에서는 체크아웃 페이지의 레이아웃 및 디자인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SEO 최적화

스키마 마크업

유료 버전에서는 스키마 마크업을 통해 검색 엔진이 사이트의 콘텐츠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SEO 친화적인 코드 구조

유료 버전에서는 SEO 친화적인 코드 구조를 제공하여, 사이트의 검색 엔진 순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SEO 플러그인 통합

유료 버전에서는 Yoast SEO, Rank Math 등의 SEO 플러그인과 더욱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

코드 최적화

유료 버전에서는 코드 최적화를 통해 사이트의 로딩 속도를 더욱 빠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미지 최적화

유료 버전에서는 이미지 최적화 도구를 통해 사이트의 로딩 속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캐싱 및 최적화 도구

유료 버전에서는 다양한 캐싱 및 최적화 도구를 통해 사이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디자인

세밀한 반응형 디자인 설정

유료 버전에서는 더욱 세밀한 반응형 디자인 설정 옵션을 제공합니다.

모바일 전용 디자인 옵션

유료 버전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디자인 옵션을 제공합니다.

크로스 브라우저 호환성

유료 버전에서는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의 호환성을 보장합니다.

 

고급 지원 및 문서

1:1 전문가 지원

유료 버전에서는 전문가의 1:1 지원을 받을 수 있어, 문제 해결이 더욱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상세한 문서 및 튜토리얼

유료 버전에서는 상세한 사용자 문서 및 튜토리얼을 제공하여, 테마 사용이 더욱 쉽습니다.

우선적인 업데이트 및 지원

유료 버전에서는 새로운 기능 및 업데이트에 우선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결론

한마디로 다른 사람들이 봤을 때 더욱 프로페셔널하고 세련된 디자인 및 기능을 제공 합니다.

특히 웹사이트를 빠르게 제작 할 때 도움이 되는 데모 디자인의 품질에서 차이가 많이 납니다.

아무래도 비전문가가 웹사이트나 블로그를 만들다 보면 눈에 보이지 않는 디자인 차이 ( 폰트선택, 폰트사이즈, 폰트간격, 색상의 사용등…) 때문에 웹사이트가 엉성해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아스트라 유료 버젼의 데모 디자인들은 기본적으로 이런 부분들을 마치 프로의 손길로 만든 것처럼 보여주게 됩니다.

아스트라 프리미엄 버젼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알아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선택하기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선택하기

많은 사람들이 워드프레스를 선택하는 이유는 무한한 가능성과 자유로움 때문일 것이라 생각 합니다. 우리가 기대하는 거의 모든 분야의 온라인 비지니스를 위한 디자인테마, 플러그인들이 인터넷의 어딘가에서 여러분들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무한한 가능성자유로움, 온라인 비지니스를 시작하거나 확장하려는 Entrepreneur(기업가)들에게는 가슴을 뛰게하는 말들이라 생각합니다. 최근에는 점점 더 많은 개인, 단체, 비지니스들이 워드프레스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개인 블로그부터 CNN과 같은 대형 방송사까지, 현재 전세계 약 28%의 웹사이트가 워드프레스를 사용해서 만들어져 있으며, 새로 만들어지는 웹사이트 중 50% 이상이 워드프레스를 이용해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대단한 워드프레스이지만, 웹호스팅을 선택 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다양한 플러그인들, 그리고 품질이 일정치 않은 디자인테마들로 인해서 똑같은 조건이면 다른 CMS로 제작된 웹사이트들보다 조금 속도가 늦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그리고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려면 워드프레스 공식 웹사이트에서 권장하는 일정한 서버 사양을 만족해야 합니다. 따라서, 드프레스 웹사이트를 문제없이 운영하기 위해서는 워드프레스에 적합한 웹호스팅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웹사이트 자체에만 집중하는데 사용해야할 에너지를 웹호스팅 회사의 문제 때문에 쓸데없이 소모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도 웹호스팅 회사의 선택은 아주 중요합니다.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회사를 선택 하실때는 워드프레스 공식 웹사이트에서 추천하는 웹호스팅 회사를 선택 하 실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많은 웹호스팅 회사들이 있지만 워드프레스와 같이 발전속도가 빠른 솔루션은 항상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면서 업데이트가 됩니다. 그런 요구사항을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에러, 성능저하, 보안취약등의 문제가 발생 합니다. 워드프레스에서는 3개의 훌륭한 웹호스팅 회사를 추천합니다.

BlueHost와 DreamHost는 이미 오래전부터 최고의 평가를 받던 웹호스팅 회사들입니다. 그리고,  SiteGround의 경우는 최근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신흥 강자 입니다. 특희, BlueHost와 SiteGround는 우커머스 공식 웹사이트에서도 권장하는 우커머스에 최적화된 웹호스팅 회사이기도 합니다. 아래 비교분석 테이블을 통해서 각각의 항목들을 저희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워드프레스 웹호스팅을 선택 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내용을 보셔도 잘 감이 안오거나 선택을 하기 어려우면 SiteGround를 추천해드립니다. 추천 이유는 SiteGround 웹호스팅 장점 및 설정방법 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 됩니다. Web Hosting [fusion_builder_container hundred_percent=”yes” overflow=”visible”][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lumn type=”1_1″ background_position=”left top” background_color=”” border_size=””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spacing=”yes” background_image=”” background_repeat=”no-repeat” padding=”” margin_top=”0px” margin_bottom=”0px” class=”” id=”” animation_type=”” animation_speed=”0.3″ animation_direction=”left” hide_on_mobile=”no” center_content=”no” min_height=”none”]

워드프레스 공식추천 웹호스팅 회사비교 (BlueHost vs SiteGround vs DreamHost)

본 비교분석 자료에서는 일반호스팅(Shared Hosting)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각각의 회사별로 별도의 Cloud, VPS, Dedicated Server 호스팅 플랜이 있습니다.

  Web Hosting  

[/fusion_builder_column][/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ntainer]
DIY 웹사이트 따라하기

DIY 웹사이트 따라하기

시작하면서

웹사이트 따라하기는 워드프레스를 이용해서 여러분이 본인의 힘으로 직접 웹사이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드리는 가이드입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Avada라는 디자인 테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 가이드를 진행 하시기 위해서는 Avada 디자인테마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가능한 복잡한 기술적인 설명은 과감하게 생략하고 실제로 웹사이트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설명과 화면 위주로만 정보를 최대한 간추려서 정리 했습니다. 꼭 설명이 필요한 용어의 정리는 용어가 처음 나타나는 곳에서 바로 보실 수 있도록 했습니다. 내용이 조금 많지만, 천천히 따라하시면 멋진 DIY 커스텀 웹사이트를 본인의 힘으로 직접 만드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아래 순서로 가이드가 진행 됩니다.

 

 

  1.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2. Avada 디자인테마 구입하기
  3. Avada 디자인테마 설치하기
  4. 워드프레스 기본설정
  5. 페이지 만들기
  6. 메뉴 만들기
  7. 헤더와 푸터(Header & Footer) 만들기
  8. 사이드바(Sidebar) 및 위젯(Widget) 설정하기
  9. 블로그 설정하기
  10. 페이지 꾸미기
  11. 한국형 게시판 만들기
  12. 웹사이트 접속통계 플러그인 설치하기

1.웹호스팅 및 도메인이름

웹호스팅 이란?  웹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가 운영될 서버, 사용자들의 접속을 감당할만한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서버와 네트워크가 있을장소)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을 모두 갖추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개인이나 스몰비지니스가 감당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환경을 모두 갖춘 웹호스팅 회사에서 저렴한 월 비용만 지불하고 웹호스팅 서비스를 받게 됩니다. 특희, 쇼핑몰의 경우는 사용자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일반 웹호스팅 보다는 보다 안전하고 속도가 빠른 웹호스팅이 필요합니다.

도메인(Domain)이름 이란?  웹사이트를 인터넷에서 구별하는 이름입니다. 흔희 URL 이라고도 얘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GOOGLE.COM AMAZON.COM, DAUM.NET 등이 있습니다. 도메인 이름은 보통 1년 단위로 도메인 등록 회사에서 임대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하기 (도메인 이름 설정 포함)

웹호스팅 구입을 위해서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선택하기를 참조 하세요. 웹호스팅 구입하기 및 워드프레스 설치를 위해서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 구입 및 기본설정하기를 참조하세요.

2.웹사이트 만들기

아래 내용들을 순차적으로 진행 하시기 바랍니다.

1)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이전 단계인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 단계를 잘 따라하신 경우 이미 워드프레스가 설치 되 있을 것 입니다. 만약, 아직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 단계를 진행 하지 않으신 경우는 위 단계를 먼저 진행 하세요.

2) Avada 디자인 테마 구입하기

본 가이드에서는 가장 기능이 풍부하고 디자인을 원하는데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Avada 디자인 테마를 사용합니다. 여기 –> AVADA 테마 구입 링크를 클릭하신 후 다음 단계를 진행 하기 전에 구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Avada 디자인 테마를 가지고 계시면 별도로 구입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3) Avada 디자인테마 설치하기

먼저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으로 로그인 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주소(URL)는 원래 웹사이트 주소 뒤에 “/wp-admin”을 붙여주면 됩니다. 예를들어 웹사이트 주소가  “MYDOMAIN.COM” 이라면 다음과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관리자주소 URL )  MYDOMAIN.COM/wp-admin  “/wp-admin”는 반드시 소문자로 입력하셔야 합니다.인터넷 브라우져에서 위와 같이 주소(URL)를 입력하고 이동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 납니다. 아래 화면에서 Username or Email Address 에 관리자 아이디 혹은 이메일을 입력 하시고, Password란에 패스워드를 입력하신 후 Log In 버튼을 클릭 합니다.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Appearance > Themes를 클릭 합니다.

아래 화면에서 새로운(유료)테마를 설치 하기 위해서 ‘Add New’를 클릭 합니다. %ed%85%8c%eb%a7%88%ec%84%a4%ec%b9%982

아래 그림과 같이 ‘Upload Theme’을 클릭 합니다. %ed%85%8c%eb%a7%88%ec%84%a4%ec%b9%983

아래 그림과 같이 (1) ‘Choose File’을 클릭 하면  디자인 테마 화일을 선택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이미 다운 받아놓은 (2) Avada Theme 설치 화일을 선택 합니다 (3) ‘Open’을 클릭 합니다. %ed%83%9c%eb%a7%88%ec%84%a4%ec%b9%984

아래 그림과 같이 ‘Install Now’를 클릭 합니다. %ed%85%8c%eb%a7%88%ec%84%a4%ec%b9%985

설치과정은 보통 1분 미만이 소요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Activate’를 클릭 합니다. %ed%85%8c%eb%a7%88%ec%84%a4%ec%b9%986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Avada 디자인테마의 Welcome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설치를 하신 후에는 제품등록을 하셔야 정상적으로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Generate a personal token’ 링크를 클릭합니다. ( 아래 그림에 나타난 창은 닫지 마시고 그대로 두시기 바랍니다 ) %ed%85%8c%eb%a7%88%ec%84%a4%ec%b9%987

이전에서 ‘Generate a personal token’ 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별도의 창(탭)에 Avada token 등록 화면이 나타납니다.  Token은 인증코드와 비슷한 것 정도로 알아두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처럼 Token name을 하나 입력하시고 아래와 같이 체크를 하신 후 ‘Create Token’을 클릭 합니다. %ed%85%8c%eb%a7%88%ec%84%a4%ec%b9%988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새로운 Token이 정상적으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token key을 Copy합니다.  ( 보안상 제 token key는 흐릿하게  했습니다 ) %ed%85%8c%eb%a7%88%ec%84%a4%ec%b9%989

위에서 Copy한 Token key를 아래 그림과 같이  Avada 디자인테마의 Welcome 화면에 붙여 넣습니다. 그리고, ‘SUBMIT’을 클릭 합니다. %ed%85%8c%eb%a7%88%ec%84%a4%ec%b9%9810

아래 그림 하단과 같이 ‘Congratulations! Your product is registered now.’라는 메세지가 나타나는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화면 상단의 ‘Go Manage Plugins’를 클릭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3개의 플러그인을 하나씩 차례로 설치 합니다.

위 화면에서 (1), (2)번의 경우는 Install 을 하면 Activate까지 자동으로 해 주는데 (3)번 SLIDE REVOLUTION 의 경우는 아래 그림과 같이  Install 후 Activate을 한번 더 클릭해 주어야 합니다. %ed%85%8c%eb%a7%88%ec%84%a4%ec%b9%9813

위 과정까지를 마쳤으면, 이제 실제로 웹사이트가 어떻게 보이는지 한번 확인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웹브라우져를 열고 여러분의 도메인 이름을 입력 해 보세요. 아래와 같이 보이면 워드프레스 와 디자인테마 (Avada)가 정상적으로 설치 된 것입니다. ( 디자인테마의버젼에 따라서 조금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에러가 없이 아래와 비슷한 화면이 나타나면 문제가 없는 것 입니다)

4) 워드프레스 기본설정

먼저, 관리자 화면으로 로그인 합니다. 아래 관리자 화면에서 Settings를 클릭 합니다. settings1

아래 내용을 참조해서 이어지는 화면의 내용을 입력하세요. 아래 내용중 (필수) 라고 되있는 부분은 반드시 확인하고 본인의 상황에 맞도록 수정 하세요

  • Site Title (필수) :  브라우져 (크롬,파이어폭스등 ….) 의 탭에 나타나는 웹사이트 제목을 입력 합니다.
  • setting1-1
  • Tagline  : 웹사이트를 설명하는 자신만의 특징있는 문장을 입력 합니다.
  • WordPress Address (URL)   : 서버에 실제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URL 입니다. 처음에는 웹호스팅 회사에서 제공한 URL이 입력 되 있을 수 있습니다. 본인의 도메인 이름을 http://mydomain.com 형식으로 입력 하시면 됩니다.
  • Site Address (URL) (필수) : 사용자들이 인터넷에서 본인의 웹사이트로 연결되기 위한 URL입니다.  본인이 구입한 URL 을 http://mydomain.com ( mydomain.com 은 본인의 도메인 이름 ) 의 형식으로 입력하세요.
  • Email (필수) : 웹사이트에서 이메일을 받거나 보낼 때 기본이 되는 이메일을 입력하세요. 예를들어 Contact Us 페이지에서 방문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전송되어지는 이메일 주소등을 말합니다.
  • Membership : 회원가입이 가능한 사이트를 만드는 옵션 입니다. 회원가입이 필요 없는 사이트는 체크하지 마시고 그대로 두세요.
  • New user default role : 새 회원이 가입 했을때 새 회원의 기본 권한을 자동으로 설정 하는 기능 입니다.
  • Time Zone (필수) : 본인이 위치한 지역의 시간대를 선택 하세요. ( 워드프레스는 전세계의 모든 지역의 시간대를 지원 합니다 )
  • Date Format : 웹사이트에서 날짜를 보여주는 형식을 지정할수 있습니다.
  • Time Format : 웹사이트에서 시간을 보여주는 형식을 지정할수 있습니다
  • Week start on : 일반적으로 월요일로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
  • Site Language (필수) : 본인이 원하는 언어를 선택 하세요. 워드프레스는 전세계의 거의 모든 언어를 지원합니다. 처음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영어로 설치가 됩니다. 이 설정을 바꾸면 웹사이트 전체가 선택한 언어로 변경  됩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영문 관리자 화면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언어 설정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변경 가능 합니다.

5) 페이지 만들기

페이지 만들기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아래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5개의 페이지를 만드는 것 까지 만을 알아보고, 페이지를 멋지게 꾸민는 것은 10)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워드프레스 페이지 만들기 

6) 메뉴 만들기

메뉴 만들기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워드프레스 메뉴만들기 

wp-design-structure보통 웹사이트는 보여지는 영역에  따라서 크게 4가지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영역들을 헤더,메인 컨텐츠,사이드바,푸터로 구분 합니다.

일반적인 웹사이트의 경우 헤더와 푸터의 경우는 페이지가 바뀌어도 똑같은 내용을 보여주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즉, 한번만 만들어 놓으면 거의 모든 페이지에서 사용되어 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헤더에는 로고, 메인메뉴, 연락처등이 보여지고, 푸터의경우는 Contact us정보, 메인 메뉴에서 빠진 메뉴들, Copyright 정보등이 보여집니다.

헤더(Header) 만들기

아래 그림과 같이 웹페이지의 상단 부분중 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하게 보여지는 부분을 헤더(Header)라고 합니다. 일반 적으로 웹사이트 로고(Logo), 메인메뉴등이 보여지게 됩니다. %ed%97%a4%eb%8d%941

헤더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가 사용중인 Avada 디자인 테마의 ‘Theme options’로 이동 합니다.

%ed%97%a4%eb%8d%942

Avada 디자인테마의 Theme Options

Avada 디자인테마를 설치 하면 ‘Theme Options’라는 별도의 관리자 영역을 제공 합니다. 보통 일반적인 워드프레스 유료 디자인테마도 이러한 영역을 제공 합니다. 그러나, Avada 디자인테마의 경우는 이 기능이 아주 잘 되있습니다. 다른 유료 디자인테마에 비해서 훨씬 많은 기능을 제공 합니다. 저희가 추천해 드리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본 가이드를 진행 하면서 Avada 디자인테마의 ‘Theme Options’의 좋은 기능들을 최대한 많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ed%97%a4%eb%8d%943

아래와 같이 Header Position은 Top으로 유지 합니다. Header Layout 여러분이 보시고 가장 마음에 드는 것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선택을 하신 후에는 화면 하단의 Save Changes를 클릭 하신 후 실제로 웹사이트를 열어서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해 보세요. 선택된 Layout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변경 하고 Save Changes를 클릭 하면 됩니다. 항상 무엇인가를 변경하신 후에는 Save Changes를 클릭 하세요!

헤더에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넣어 줄 수 있습니다.

%ed%97%a4%eb%8d%946%ed%97%a4%ed%84%b05

Header styling 을 클릭해서 아래와 같이 스타일을 설정 해줍니다. %ed%97%a4%eb%8d%947

Sticky Header 설정을 해줍니다. %ed%97%a4%eb%8d%948

로고(Logo) 설정하기

Theme Options > Logo로 이동 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로고를 설정 해줍니다. logo1

 

파비콘(Favicon) 설정하기

Theme Options > Logo > Favicon 으로 이동 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파비콘을 설정 해줍니다. 파비콘(Favicon)이란? 웹브라우져의 탭의 왼쪽에 나타나는 웹사이트 고유의 아이콘 입니다. 보통 24×24, 16×16  픽셀 사이즈의 아이콘을 말합니다.  http://www.favicon-generator.org/  에서 Free로 만드실 수도 있고, 직접 만드셔도 됩니다.

favicon

푸터는 헤더와 마찬가지로 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하게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화면 가장 아래 부분에 위치 하게 됩니다. 보통 메인 메뉴이외의 페이지 링크, Contact 정보, 최근글 혹은 제품 2~3개정도를 보여주게 됩니다. 그리고, 화면 가장 하단에는 Copyright 문구를 넣는 것이 일반 적입니다.

%ed%91%b8%ed%84%b00

Avada > Theme Options > Footer > Footer Contents를 클릭 합니다.

%ed%91%b8%ed%84%b01

푸터 컨텐츠 영역을 보이지 않게 하려면 ‘Footer Widgets’을 Off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푸터 컨텐츠를 몇개의 컬럼(가로로 영역을 나눔)으로 나눌 것인지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의 ‘Footer Special Effects’ 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선택 할수 있습니다. ( 설명이 이해가 않되시면 직접 설정을 변경 하신 후 웹사이트가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 하시면 보다 명확히 이해하 실 수 있습니다)

  • Footer Parallax Effect : 푸터의 위치를 항상 고정 시키고 스크롤을 아래로 하면 푸터가 위에서 내려온 컨텐츠에 덮히는 효과를 나타내줌.
  • Parallax Background Image : 푸터의 배경 이미지의 위치를 항상 고정 시키고 스크롤을 아래로 하면 푸터 배경 이미지가가 위에서 내려온 컨텐츠에 덮히는 효과를 나타내줌.
  • Sticky Footer : 푸터의 위치를 위 헤더에서 설명한 Sticky Header 처럼 항상 화면 하단에 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네줌.
  • Sticky Footer and Parallax Background Image : 푸터의 배경 그림은 항상 같은 위치에 있고 푸터 컨텐츠만이 스크롤되는 효과를 줌.

Copyright Bar를 보여줄지 말지 설정이 가능 합니다. Copyright에 보여줄 내용을 직접 입력 가능 합니다.

%ed%91%b8%ed%84%b02

Avada > Theme Options > Footer > Footer Background Image를 클릭 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푸터 배경 이미지를 업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업로드된 이미지는 푸터 컨텐츠 영역에 보여지게 됩니다. ‘100% Background Image’를 On 하시면 이미지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푸터의 컨텐츠 영역을 꽉채워 줍니다.

%ed%91%b8%ed%84%b03

Avada > Theme Options > Footer > Footer Styling를 클릭 합니다. 푸터 부분을 아래 그림과 같이 아주 세밀하게 설정이 기능 합니다. 자세한 설정 방법은 아래 그림을 참조하세요.

%ed%91%b8%ed%84%b04

8) 사이드바 (Sidebar) 및 위젯 (Widget) 설정하기

%ec%82%ac%ec%9d%b4%eb%93%9c%eb%b0%942%ec%82%ac%ec%9d%b4%eb%93%9c%eb%b0%941 사이드바 (Sidebar)란? 웹사이트 메인 컨텐츠의 왼쪽 혹은 오른쪽에 위치하며 메인 컨텐츠에 따라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부분들을 보여주는 영역 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브 메뉴, 최근글 리스트, 검색창, 광고등이 올 수 있으며, 페이지의 내용별로 사이드바를 별도로 지정하 실 수도 있습니다. 사이드바는 경우에 따라서 보이지 않게  하기도 합니다. %ec%82%ac%ec%9d%b4%eb%93%9c%eb%b0%943사이드바를 만들기 전에 한가지 먼저 알아 두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위젯 (Widget) 이라는 것입니다. 위젯은 사이드바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는 웹사이트 컨텐츠의 덩어리 입니다. 즉, 사이드바에 위젯을 하나 혹은 여러개를 끼워넣어서 원하는 컨텐츠 영역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위젯들은 이미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 들도 있고 Avada 디자인테마같이 유료 디자인테마를 구입하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위젯을 통해서 웹사이트를 보다 Active하고 Unique하게 꾸미 실 수 있습니다.

사이드바에 위젯 추가하기

Avada > Appearance > Widgets 을 클릭 합니다. %ec%82%ac%ec%9d%b4%eb%93%9c%eb%b0%944

아래 그림과 같이 사이드바와 위젯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한 화면에서 관리를 합니다.  필요 따라서 사이드바를 추가로 만들 수 있습니다. 보통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사이드바를 사용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면 이전 프터에서 알아봤던 푸터 컨텐츠 영역을 위한 사이드바 4개 (Footer Widget1, Footer Widget2, Footer Widget3, Footer Widget4)가 이미 만들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ec%82%ac%ec%9d%b4%eb%93%9c%eb%b0%945

아래 그림과 같이 Archive라는 위젯을 Drag & Drop방식을 통해서 Blog라는 사이드바에 넣어줄 수 있습니다. 사이드바에는 여러개의 위젯을 넣어 줄 수 있고 Drag & Drop방식을 통해서 순서를 정해 줄 수 있습니다. 각각의 위젯을 사이드바로 이동한 후에는 위젯의 설정을 해줄 수 있습니다. %ec%82%ac%ec%9d%b4%eb%93%9c%eb%b0%946

사이드바 위치및 내용 정해주기 (전체적으로)

사이드의 위치및 내용은 전체적으로 정해 주거나 페이지별로 따로 정해 줄 수 있습니다. 먼저 전체적으로 사이드바의 위치및 내용을 통일해서 정해주는 방법부터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Avada > Theme Options > Sidebars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각각의 페이지 타입별로 사이트바의 위치와 내용을 정해주도록 구분되 있습니다. 여기서는 일반 페이지(Pages)의 경우를 설명합니다. (다른 페이지 타입들도 동일하게 적용하시면 됩니다)

%ec%82%ac%ec%9d%b4%eb%93%9c%eb%b0%948

사이드바 위치및 내용 정해주기 (페이지마다)

개별 페이지마다 사이드바의 위치와 내용을 따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Pages > All Pages 로 이동 합니다. 사이드바를 다르게 설정해 줄 페이지의 제목을 클릭 합니다. (여기서는 About us 페이지 입니다) %ec%82%ac%ec%9d%b4%eb%93%9c%eb%b0%9410

아래 그림과 같이 개별 페이지별로 설정을 다르게 할 수 있습니다. 설정을 마치신 후에는 반드시 화면 상단으로 스크롤하셔서 우측에 있는 ‘Publish’ 혹은 ‘Update’ 버튼을 클릭 하세요.

%ec%82%ac%ec%9d%b4%eb%93%9c%eb%b0%9411

9) 블로그 설정하기

블로그는 웹사이트를 마케팅 하기위한 가장 유용한 방법중 하나입니다. 워드프레스의 경우는 이러한 블로그를 만들고 관리하는데 특화되 있습니다. 그리고, 워드프레스 블로그의 경우는 검색엔진에서 잘 노출 되도록 개발이 되있습니다. 블로그만 잘 관리해도 여러분의 웹사이트에 방문자가 늘어나는것을 직접 경험 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카테고리 설정하기

블로그는 글의 내용에 따라서 별도의 카테고리별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별로 구분을 해 놓으면 향후에 검색 과 관리가 편리합니다. 미리 카테고리 내용을 정해줄 수도 있고 글(Post)을 작성 하면서 카테고리를 추가 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미리 카테고리를  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Posts > Categories로 이동 합니다.

%eb%b8%94%eb%a1%9c%ea%b7%b81

아래와 같이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거나 이미 만들어진 카테고리를 수정하거나 삭제 할 수 있습니다.

%eb%b8%94%eb%a1%9c%ea%b7%b82

블로그 글(Post) 작성하기

블로그 글 작성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osts > Add New를 클릭 합니다.

  1. 제목을 입력 합니다.
  2. 내용을 입력 합니다. 만약 이미지를 추가 하려면 왼쪽 상단에 있는 ‘Add Media’ 버튼을 클릭한 후 이미지를 업로드 합니다. 내용 입력 창은 아주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 합니다. 예를들어 Youtube 비디오의 경우 주소만 copy & paste하면 자동으로 비디오를 추가 해줍니다.
  3. 카테고리를 선택해 줍니다. 만약 원하는 카테고리가 없으면 ‘ Add New Category’를 클릭해서 새로운 카테고리를 직접 만들 수 있습니다.
  4. Feature Image를 클릭해서 글이 리스트 될때 보여질 대표 이미지를 입력 합니다.
  5. Publish를 클릭해서 작성한 내용을 저장 해줍니다.

아래 그림 하단에서 볼 수 있듯이 Avada 디자인테마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글 작성 할 때 제공되는 옵션보다 훨씬 다양한 옵션들이 제공 됩니다. %eb%b8%94%eb%a1%9c%ea%b7%b83

워드프레스 기본 에디터 사용방법 (글,페이지 작성용)

블로그의 내용은 워드프레스 기본 에디터를 사용해서 작성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은 대략적인 기본 에디터의 사용 방법입니다.

10) 페이지 꾸미기

이번 단계에서는 페이지를 보기 좋게 디자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보통 페이지를 보기 좋게 꾸미기 위해서는 HTML, CSS, JAVASCRIPT등의 웹사이트 제작 기술을 잘 알고 있어야 가능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현재  Avada 디자인테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vada 디자인테마는 페이지를 멋지게 꾸미기 위해서 Fusion Builder 라는 도구를 제공 합니다. 이 Fusion Builder를 통해서 우리는 코딩을 하지 않고도 Drag & Drop 방식으로 멋지게 페이지들을 디자인 할 수 있습니다.

Avada 디자인테마의 Fusion Builder 사용법

이미 우리가 만들어 놓은 Home 페이지를 오픈 합니다. Pages > All Pages > Home을 선택 합니다. %ed%8e%98%ec%9d%b4%ec%a7%80%eb%94%94%ec%9e%90%ec%9d%b81

아래 그림처럼 워드프레스 기본 에디터로 기본 선택이 되있으면 Avada Fusion Builder로 변경 합니다.

%ed%8e%98%ec%9d%b4%ec%a7%80%eb%94%94%ec%9e%90%ec%9d%b82

Fusion Builder를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Container를 클릭해서 컨텐츠를 만들 영역을 만들어 줍니다.
  2. Container가 어떤 컬럼(Column)의 조합으로 만들어 질 것인지 선택해 줍니다.
  3. 각각의 컬럼(Column)에 있는 Add Element를 클릭해서 컨텐츠 Element 선택창을 오픈해 줍니다.
  4. 컨텐츠 Element 선택 창에서 원하는 컨텐츠 Element를 선택 합니다.
  5. 컨텐츠 Element 설정창을 통해서 컨텐츠 Element를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6. 위에서 원하는대로 작업이 끝나면 ‘SAVE’를 클릭해서 컨텐츠 Element를 저장해 줍니다

위 순서를 반복해서 원하는 컨텐츠 Element를 원하는 컬럼에 추가 해줍니다.

%ed%8e%98%ec%9d%b4%ec%a7%80%eb%94%94%ec%9e%90%ec%9d%b83

Fusion Builder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 Element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각의 컨텐츠 Element들은 설정 방법이 조금씩 다릅니다. 그러나, 하나씩 직접 적용해 보면서 본인의 요구에 맞는 설정을 찾아나가다 보면 어렵지 않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ed%8e%98%ec%9d%b4%ec%a7%80%eb%94%94%ec%9e%90%ec%9d%b84

11) 한국형 게시판 만들기

전세계적으로 운영되는 웹사이트들은 대부분 정보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도구로 블로그(Blog) 형태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가끔 한국적인 포털(Portal)사이트에 익숙한 사용자들을 위해서 한국형 게시판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을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 사항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플러그인을 설치 해야만 합니다.

플러그인 이란?

플러그인이란, 쉽게 예를 들어서 iPhone App Store혹은 Google Play의 App Store에서 제공하는 App과 같은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워드프레스는 현존하는 웹사이트 제작 도구중 가장 많은 약 50,000개의 Free 플러그인을 가지고 있으며 이보다 많은 유료 플러그인들이 우리가 상상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분야의 기능적인 부분들을 지원해주기 위해서 준비중 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플러그인을 장 활용하면 여러분들이 원하시는 웹사이트의 기능들을 구현 하 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게시판 KBOARD 설치

한국형 게시판 KBOARD 다운로드  에서 KBOARD 플러그인을 다운로드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게시판 플러그인과 댓글 플러그인 2개의 화일을 본인의 PC(Lap Top)에 다운로드 받습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1-1

다운로드 받은 KBOARD 게시판을 설치하기 위해서 Plugins > Add New로 이동 한 후, Upload Plugin을 클릭 합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2

Choose File’을 선택 후 아래 그림과 같이 kboard-wordpress-plugin-X.X.X 화일 (게시판 플러그인 메인 화일)을 선택 합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3

Install Now를 클릭 합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4

‘Active Plugin’을 클릭 합니다.

댓글 플러그인 4.4 버젼을 설치 하기 위해서  Plugins > Add New로 이동해서 ‘Upload Plugin’을 클릭 합니다.

Choose File을 클릭해서 댓글 플러그인인 ‘kboard-comments-wordpress-plugin-X.X’를 선택 합니다.

‘Install Now’를 클릭합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6

Activate Plugin’을 클릭합니다. %ed%95%9c%ea%b5%ad%ed%98%80%ea%b2%8c%ec%8b%9c%ed%8c%905

한국형 KBOARD에 새로운 게시판 만들기

New Forum’으로 이동 합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eb%a7%8c%eb%93%a4%ea%b8%b01

새 게시판 만들기 (일반설정). 아래그림을 참조하세요. 보다 자세한 설정 방법은 KBOARD 사용자 커뮤니티 를 참조하세요.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eb%a7%8c%eb%93%a4%ea%b8%b02

새 게시판 만들기 (보안설정). 아래그림을 참조하세요. 보다 자세한 설정 방법은 KBOARD 사용자 커뮤니티 를 참조하세요.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eb%a7%8c%eb%93%a4%ea%b8%b03

한국형 KBOARD를 페이지에 추가하기

Forum List로 이동 한 후 게시판을 선택 합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ec%82%ac%ec%9a%a9%ed%95%98%ea%b8%b01

Forum List로 이동 한 후 게시판을 선택 합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ec%82%ac%ec%9a%a9%ed%95%98%ea%b8%b02

Kboard > 게시판으로 사용 할 페이지를 선택 합니다. ( 예제의 경우는 ‘자유게시판’이라는 페이지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ec%82%ac%ec%9a%a9%ed%95%98%ea%b8%b03

페이지 메인 컨텐츠 부분에 Copy해 두었던 ‘게시판숏코드’를 븥여넣습니다. ‘Update’를 클릭 합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ec%82%ac%ec%9a%a9%ed%95%98%ea%b8%b04

숏코드(Shortcode)란?

숏코드(Shortcode)는 미리 만들어진 기능을 메인 컨텐츠에 간단한 형태로 입력해서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입니다. 워드프레스(WordPress)만의 독특한 기능 입니다.  Kboard 게시판의 경우 ‘kboard id=1’과 같이 간단한 코드를 입력 함으로써 게시판을 페이지에 보여주고 기능이 작동 하도록 해줍니다. 이러한 숏코드(Shortcode)기능을 많이 갖춘 플러그인이 보다 활용도가 높은 플러그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게시판이 정상적으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합니다. 아래 그림과같이 ‘자유게시판’이라는 게시판이 정상적으로 만들어 졌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ed%95%9c%ea%b5%ad%ed%98%95%ea%b2%8c%ec%8b%9c%ed%8c%90-%ec%82%ac%ec%9a%a9%ed%95%98%ea%b8%b05

12) 웹사이트 접속통계 플러그인 설치하기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접속자에 대한 통계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웹사이트를 접속한 사용자의 위치(국가), 어떤 검색엔진을 통해서 접속했는지, 어떤 키워드를 입력해서 접속을 했는지, 하루/일주일/한달간의 접속 통계는 어떻게 되는지…등의 통계 정보를 잘 모니터링 하면 웹사이트 컨텐츠를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 온라인 마케팅을 어떤 방향으로 해야 하는지 실마리(Clue)를 얻게 됩니다. 그래서 WP Statistics라는 유용한 웹사이트 접속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플러그인을 소개 해드립니다..

웹사이트 방문통계 플러그인(WP Statistics)설치 및 리포트보기

Plugins > Add New 를 클릭 합니다. weblog1

Keyword를 ‘wp statistics’라고 입력 합니다. 그런후 아래와 같이 리스트가 나오면 첫번째 플러그인인 WP Statistics의 ‘Install Now’를 클릭 합니다. weblog2

Activate’을 클릭합니다. weblog3

WP Statistics가 정상적으로 설치 된후 아래와 같이 WP Statistics > Overview를 클릭 합니다. weblog4

아래 그림과 같이 다양한 웹사이트 방문 통계 정보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weblog5

DIY 쇼핑몰 따라하기

DIY 쇼핑몰 따라하기

시작하면서…

쇼핑몰 따라하기는 커스텀 DIY쇼핑몰을 제작하는 방법을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는 가이드 입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워드프레스(WordPress) + 우커머스(WooCommerce)를 사용한 커스텀 쇼핑몰 제작을 설명합니다. 반복적으로 커스텀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워드프레스(WordPress) + 우커머스(WooCommerce) 조합으로 쇼핑몰을 제작하면 기능이나 디자인을 여러분의 비지니스 환경에 맞도록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쇼핑몰을 시작하면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멋진 쇼핑몰을 만드는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  Flatsome 이라는 디자인테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 DIY가이드를 진행 하시기 위해서는 Flatsome 디자인테마를 구입하셔야 합니다. 물론, 우커머스 쇼핑몰을 만들기 위한 무료 디자인테마도 있습니다. 그러나, 멋진 기능과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유료 플러그인을 별도로 설치해야합니다. Flatsome은 이런 기능과 디자인을 이미 충분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쇼핑몰을 제작하는 시간과 비용을 Save하도록 해줍니다. 또한,  아래와 같이 최고의 웹디자이너들이 미리 만들어 놓은  15개의 멋진 디자인 중 하나를 선택해서 시작할 수 있고, 나중에 다른 디자인으로 변경도 가능합니다.

각각의 디자인을 클릭 해보면 Live 웹사이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Contents

  1. 웹호스팅 및 도메인
  2. Flatsome 디자인테마 구입 및 설치
  3. Flatsome 디자인테마 설정 (Setup wizard)
  4. 우커머스(WooCommerce) Quick Setup
  5. 우커머스(WooCommerce) 상세설정
  6. 상품등록
  7. 페이지 만들기.
  8. 메뉴 만들기
  9. 쇼핑몰 헤더(Header) 및 푸터(Footer)
  10. 쇼핑몰 프론트 페이지 디자인
  11. 상품진열 페이지 디자인
  12. 상품상세 페이지 디자인
  13. 마케팅관련 플러그인 설치
  14. 쇼핑몰 Launch

 

1.웹호스팅 및 도메인이름

웹호스팅 이란?
웹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가 운영될 서버, 사용자들의 접속을 감당할만한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서버와 네트워크가 있을장소)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을 모두 갖추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개인이나 스몰비지니스가 감당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환경을 모두 갖춘 웹호스팅 회사에서 저렴한 월 비용만 지불하고 웹호스팅 서비스를 받게 됩니다. 특희, 쇼핑몰의 경우는 사용자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일반 웹호스팅 보다는 보다 안전하고 속도가 빠른 웹호스팅이 필요합니다.
도메인(Domain)이름 이란?
웹사이트를 인터넷에서 구별하는 이름입니다. 흔희 URL 이라고도 얘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GOOGLE.COM AMAZON.COM, DAUM.NET 등이 있습니다. 도메인 이름은 보통 1년 단위로 도메인 등록 회사에서 임대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하기 (도메인 이름 설정 포함)

우커머스 쇼핑몰을 제작 할 때 웹호스팅의 선택은 아주 중요합니다.  가능하면 워드프레스와 우커머스에서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웹호스팅 회사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워드프레스와 우커머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권장되는 특정한 서버 사양이 있습니다.  이런 서버 권장 사양을 만족 하고  또, 워드프레스와 우커머스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패치들을 적용해 주어야 합니다. 이런 내용들을 신경쓰지않으면 속도저하, 웹사이트 다운, 해킹 및 Malware 감염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와 우커머스에서 권장하는 웹호스팅 회사들은 이런 내용들을 별도로 신경쓰지 않아도 웹호스팅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이런 부분을 모두 지원해줍니다.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선택하기를 참조하셔서 웹호스팅 회사를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내용을 잘 이해하시기 힘드시면 저희가 가장 우선적으로 권장 하는 사이트그라운드를 가지고 시작을 하시면 웹호스팅 회사 선택의 스트레스를 줄이 실 수 있을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트그라운드 장점 및 구입, 설정 방법을 참조하세요.

2. Flatsome 디자인테마 구입/설치

1) Flatsome 디자인 테마 구입하기

본 가이드에서는 쇼핑몰 제작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Flatsome 디자인테마를 사용합니다.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셔서 다음 단계를 진행 하기 전에 구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Flatsome 디자인테마를 가지고 계시면 별도로 구입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Flatsome 구입하기 디자인테마 구입하기

2) Flatsome 디자인테마 설치하기

먼저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으로 로그인 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주소(URL)는 원래 웹사이트 주소 뒤에 “/wp-admin”을 붙여주면 됩니다. 예를들어 웹사이트 주소가  “MYDOMAIN.COM” 이라면 다음과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관리자주소 URL )  MYDOMAIN.COM/wp-admin  “/wp-admin”는 반드시 소문자로 입력하셔야 합니다.인터넷 브라우져에서 위와 같이 주소(URL)를 입력하고 이동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 납니다. 아래 화면에서 Username or Email Address 에 관리자 아이디 혹은 이메일을 입력 하시고, Password란에 패스워드를 입력하신 후 Log In 버튼을 클릭 합니다.

Flatsome 디자인테마를 설치하기 위해서 Appearance > Themes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Add New 버튼을 클릭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Flatsome 설치 화일을 업로드하기 위해서 ‘Upload Theme‘을 클릭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1) Flatsome 설치화일을 업로드 하기 위해서 ‘Choose File‘을 클릭합니다. (2) 본인이 Flatsome 디자인테마를 구입 후 다운로드 받은 폴더를 선택 합니다. 거기서 설치 화일을 찾아서 선택해 줍니다. (3) ‘Install Now’를 클릭 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Activate’를 클릭합니다

3. Flatsome 디자인테마 설정 (Setup wizard)

아래 그림과 같이 Flatsome의 Welcome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Setup wizard for Flatsome 과정이 시작됩니다. 이 과정을 지금 생략하고 나중에 해도 됩니다. 그럴경우는 아래와 같이 ‘Not right now‘를 클릭하세요. 여기서는  ‘Let’s Go!’를 클릭하세요.

아래 그림과 같이 Purchase code를 입력하고 ‘Active’를 클릭합니다. ( Purchase code를 찾는 방법은 이어지는 2개의 화면을 참조하세요)

theme-activate2

Flatsome 디자인테마를 구입하신 ThemeForest.net으로 로그인 합니다. 구입하신 Flatsome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4가지 다운로드 옵션중 가장 아래에 있는 ‘License certificate & purchase code (text)‘를 다운로드 합니다.

theme-activate3

다운로드받은  ‘License certificate & purchase code (text)‘를 오픈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화면 하단에서 ‘Item Purchase Code‘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heme-activate4

다음화면은 ‘Child Theme‘을 설치하는 과정 입니다. 여기서는 ‘Skip this step‘을 클릭합니다.

Child Theme 이란?  Child Theme은 디자인테마의 복사본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원본 디자인테마의 위치만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즉, 디자인테마의 특정 부분의 소스코드를 수정할 필요가 있을때 원본 소스코드는 그대로 보존 하면서 원하는 부분의 소스코드만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설명이 조금 복잡 할 수 있지만, 소스코드를 수정할 필요가 있을때만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Child Theme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래 화면처럼 필수 플러그인 설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Continue‘를 클릭 합니다. 설치되는데 시간이 조금 걸립니다.

이전 화면에서 필수 플러그인 설치 과정이 끝나면 ‘Demo Contents‘를 설치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Demo Contents를 설치하기 위해서, 모두 체크를 하고 ‘Continue’를 클릭 합니다.

Demo Contents란? 디자인테마를 구입한 후 설치를 해보면 판매할때 SAMPLE로 보여 주었던 웹사이트와 차이가 나서 당황할 수 있습니다.  Sample 웹사이트는 Demo Contents가 설치된 상태로 보여지게 됩니다. 따라서, 여러분도 Demo Contents를 설치한 후에 본인의 비지니스에 맞도록 뺄것은 빼고, 수정할 것은 수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 하시는것이 훨씬 쉽습니다.

Demo Contents가 설치된 후에는 Logo를 업로드 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또한, 화면 중앙에 보면 이미 만들어진 쇼핑몰 디자인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로고를 업로드 후 ‘Continue’를 클릭 합니다. (로고의 이미지 사이즈는 가로395px X 세로 84PX입니다). 

여기까지 Flatsome 디자인테마의 기본설정 완료됬습니다. ‘Agree and Continue’를 클릭 합니다.

이제 Flatsome 디자인테마의 설치와 셑업이 완료됬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Setup WooCommerce‘ 를 클릭해서 WooCommerce Quick Setup으로 이동합니다.

여기까지 진행 후 실제로 웹사이트를 보면 아래 화면과 같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이미 쇼핑몰의 기본틀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temp_website_overview

4. 우커머스(WooCommerce) Quick Setup

위 화면에서  ‘Setup WooCommerce‘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WooCommerce Quick Setup화면이 나타납니다. ‘Lets Go!‘를 클릭 합니다.

아래는 WooCommerce  Default 페이지들을 설치하는 화면 입니다.  ‘Continue‘를 클릭 합니다.

사업장 위치 및 상품부피 측정 단위를 입력한 후 ‘Continue‘를 클릭합니다. (아래 예제는 미국에 사업장이 있는 경우 입니다)

Shipping & Tax는 조금씩 다를수 있으니 여기서는 ‘Skip this step‘을 클릭합니다. (향후에 우커머스(WooCommerce)설정에서 본인의 비지니스 환경에 맞도록 설정합니다)

아래 화면은 결제관련 세팅 화면 입니다. PayPal Standard 의 경우는 사용료가 무료입니다. 단, 매 주문건당 Fee가 발생 합니다.  미국에 사업장이 있는 경우 PayPal Transaction Fee 를 참조하세요. PayPal 이메일만 입력한 후 ‘Continue‘를 클릭하세요.

theme-install13

여기까지 진행이 되셨으면 ‘WooCommerce Quick Setup‘이 완료된 것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Create your first products!‘를 클릭하면 바로 상품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Flatsome 디자인테마 설정과 WooCommerce Quick Setup을 완료하였습니다

5. 우커머스(WooCommerce) 상세설정

이전 단계인 4.우커머스(WooCommerce) Quick Setup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설정이 이미 완료 됬습니다.

  • 사업장 설정
  • 우커머스(WooCommerce) 기본 페이지 설정
  • 기본결제 수단설정 (PayPal)

위 3가지 설정 이외에도 실제로 쇼핑몰을 운영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설정들이 있습니다. 배송관련설정, 결제관련설정, 고객어카운트관련설정, 이메일관련설정등 중요한 설정들을 하셔야 합니다. 위 설정들은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별도의 글로 정리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WooCommerce) 상세설정 – VER. 2.6.14 기준

6. 상품(Products) 등록.

쇼핑몰을 운영하시면서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인  상품등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커머스의 상품등록은 저희가 제공해드리는 설명을 보시면 크게 어렵지 않게 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타입이 어떤 것인지 잘 판단하셔서 등록을 하시기 바랍니다. 상품등록 및 관리관련 글도 내용이 길어서 별도의 글로 정리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우커머스(WooCommerce) 상품등록 – VER. 2.6.14 기준

 

7. 페이지 만들기.

대부분의 쇼핑몰들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페이지들이 있습니다. 쇼핑몰에 따라서 추가적인 페이지가 더 있을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About us, Contact us, FAQ, Terms & Condition등의 페이지는 꼭 필요한 페이지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 About (us) : 우리 쇼핑몰에 대한 소개를 제공하는 페이지 입니다. 보통 고객들은 About (us) 페이지를 보고 쇼핑몰의 신뢰성을 판단하기도 합니다. Company 혹은 Who we are 등의 제목을 갖기도 합니다.
  • Contact (us) : 고객의 문의사항이나 문제해결을 위한 연락 방법을 제공하는 페이지 입니다. 배송이 필요한 상품을 판매한다면 반품(Return)을 받을 주소등이 제공되야 합니다.
  • FAQ : 배송(Shipping) 혹은 반품(Return), 환불(Refund)등 쇼핑몰 이용시 자주 질문하는 내용들을 모아서 고객에게 편리하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페이지 입니다.
  • Terms & Condition : 쇼핑몰을 운영하는 회사의 내부 정책(Policy)을 보여주는 페이지 입니다. 향후 고객과의 분쟁 발생 시 책임소재등을 따질 때 참고가 되는 페이지 입니다. 보통 쇼핑의 마지막 단계인 결제(Checkout)페이지에서 이러한 T&C를 읽어야만 주문(Order)이 완료 되도록 설정을 해놓습니다.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워드프레스 페이지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아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는 쉽게 페이지를 만들고 만든 페이지를 헤더(Header)의 메인메뉴(Main Menu) 혹은 푸터(Footer), 사이드바(Sidebar)등에 링크형태로 연결 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만들기

Pages > Add New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아래 화면에서 페이지 제목내용을 입력합니다. 다음 이어지는 화면들의 이미지 업로드까지 완료되면 ‘Publish를 클릭 합니다. (Tip) 이미지 업로드는 마지막에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글을 입력 하시고 글의 원하는 위치에 마우스를 한번 클릭하시고 이미지업로드를 하시면 이미지의 위치를 설정하기가 수월합니다.

페이지에 이미지 업로드하기. (1) ‘Add Media’ 를 클릭합니다. (2) 오픈되는 창에서 ‘Upload File’을 선택한 후 ‘Select Files’를 클릭 합니다. (3) 원하는 이미지 화일(들)을 선택 합니다. (4) ‘Open’ 버튼을 클릭 합니다. (5) ‘Insert into page’ 를 클릭 합니다.

이미지가 업로드 된 후에는 이미지위에 마우스를 한번 만 클릭 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과 같이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는 옵션이 나타날 것입니다. Left, Right, Top, No align과 같이 4개의 우치 조절 옵션이 있습니다. 연필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이미지를 변경, 사이즈조절, 이미지를 클릭 했을때 링크, 링크가 새창에서 열릴지 현재 창에서 열릴지 등을 설정 가능 합니다.

아래 화면은 이미지를 Left Align으로 했을때입니다. 아래와 같이 그림은 왼쪽으로 글은 오른쪽으로 Align이 잘 맞추어졌습니다. 이렇게 작성이 끝나면 ‘Publish’ (이미 한번 Publish을 했으면 ‘Update’)를 클릭 합니다.

 

 페이지를 메뉴에 연결하기

위에서 만든 페이지는 아직 메뉴에 연결되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볼 수가 없습니다. 페이지를 메뉴에  연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 메뉴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은 아주 쉽습니다. Drag & Drop 방식으로 쉽게 메뉴의 순서나 계층구조를 변경 가능 합니다. 또한, 페이지, 글, 카테고리, 상품, 상품 카테고리, 특별한 링크등 여러가지 소스를 메뉴에 직접 추가 할 수 있습니다.  Appearance > Menus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조금전에 만든 About us 페이지가 가장 위에 보이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About us 페이지를 체크하고 ‘Add to menu’를 클릭합니다.

기존 메뉴에 새 메뉴 아이템을 추가 하면 기본값으로 메뉴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게 됩니다. 아래 화면은 2가지 방식으로 메뉴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 시킨 결과 입니다.

  •  Drag & Drop 방식으로 ‘Blog’ 와 ‘Element’ 사이에 위치 시킨후 메뉴를 Save한 결과 입니다.
  •  위와 마찬가지로 Drag & Drop 방식으로 ‘Blog’ 와 ‘Element’ 사이에 위치 시킨면서 조금더 안쪽으로 이동시킨 후 메뉴를 Save한 결과 입니다.

이와 같이 메뉴의 위치를 마음대로 Drag & Drop 방식으로 원하는대로 만들 수 있습니다.

 

Flatsome UX Builder로 페이지 꾸미기

페이지를 만들 때 보통은 워드프레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본 Editor로 작성을 합니다.  그러나 워드프레스  기본 Editor를 이용해서 페이지를 멋지게 꾸미는 것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Flatsome과 같은 유료 디자인테마들은 대부분 유료페이지빌더(Visual Composer와 같은) 혹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페이지빌더를 제공합니다. 페이지빌더란? 워드프레스 기본 Editor를 사용하지 않고 페이지를 멋지게 꾸밀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보통은 html, css, javascript등을 이용해서 직접 코딩을 해야하는 디자인 요소들을 코드를 몰라도 쉽게 Drag & Drop 방식으로 적용 가능 하도록 해줍니다. Flatsome의 경우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UX Builder 라는 Drag & Drop 방식의 페이지 빌더를 제공 합니다. 아래는 UX Builder의 자세한 사용 방법관련 동영상 입니다. (계속 진행하시기 전에 아래 동영상을 먼저 보시는것이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https://youtu.be/f3Hh_qSkpaA  Pages> All pages 로 이동해서 원하는 페이지를 선택해서 마우스를 페이지 제목위로 가져갑니다. 그러면 ‘Edit’이라는 링크가 나타납니다. ‘Edit’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UX Builder’를 클릭 합니다.

아래와 같이 왼쪽에 UX Builder의 컨트롤 판넬이 나타납니다. 현재 오픈된 About us 페이지에는 이전 예제에서 우리가 입력했던 이미지와 텍스트가 포함된 Text라는 Element 하나만 보여질 것 입니다. UX Builder 컨트롤 판넬에 있는 ‘Text’ Element 바로 아래 ‘Add to Content’라는 버튼을 클릭 합니다.

Add to Contents’ 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LAYOUT’, ‘CONTENT’, ‘SHOP’ 이라는 사용가능한 기능들이 나열됩니다.

  • LAYOUT : 웹페이지의 구조를 잡아주는 기능들을 나열합니다. 배너 슬라이더도 기능도 여기에서 사용 가능 합니다.
  • CONTENT : 웹페이지를 다양하게 꾸며주는 기능들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 SHOP : 사용 가능한 우커머스 관련 기능들을 보여줍니다.

 

먼저 LAYOUT 중 하나를 선택 합니다.

아래는 LAYOUT 중 ‘Large Media Left’라는 것을 선택한 경우의화면 입니다. 오른쪽에 Upload Image, Element Add등 2개의 컬럼(Column)이 만들어 진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Upload Image’ 컬럼위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왼쪽 위에 ‘Row’라고 표시되면서 우측에 톱니바퀴 아이콘이 나타 납니다.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여러가지 옵션메뉴가 나타 납니다. 그리고 화면 좌측의 UX Builder 컨트롤 판넬에 있는 각각의 톱니바퀴 아이콘들도 클릭을 하면 동일하게 옵션메뉴가 보여집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Upload Image’더블클릭 합니다. 그러면 왼쪽위의 RowImage로 변경 됩니다. (정확히 말하면 Row 안에 들어있는 Column 안의 Image Element로 변경되는 것입니다) Image를 한번만 클릭하면 왼쪽의 UX Builder 컨트롤 판넬이 이미지 설정 화면으로 변경 됩니다. Select Media를 클릭해서 원하는 이미지를 업로드 합니다.

이미지가 업로드되면 이미지 관련 옵션들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정은 아래 화면의 왼쪽의 이미지 컨트롤 판넬에서 테스트 해보시기 바랍니다. 원하는 설정들을 완료한 후에는 화면 하단 왼쪽의 ‘Apply’를 클릭 합니다. 그러면 왼쪽 컬럼의 이미지 업로드가 완료 됩니다.

이미지 업로드가 왼료되면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서 오른쪽 컬럼의 +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왼쪽의 UX Builder 컨트롤 판넬의 Row 아래에 있는 2번째 Column의 톱니바퀴를 클릭한 후 나오는 메뉴에서 ‘Option’을 클릭해도 됩니다.)

왼쪽 UX Builder 컨트롤 판넬의 CONTENT 중 ‘Text’를 클릭 합니다.

위에서  ‘Text’를 클릭하면 텍스트를 어떤 식으로 구성할 것인지를 미리 정해 놓은 PRESET중 하나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Apply’를 클릭하기 전까지는 Save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하나씩 클릭해서 원하는 PRESET을 찾아서 원하는 것을 선택 합니다. 여기에서는 Paragraph with Headline을 선택 했습니다. 그러면 화면 우측과 같이 가장 윗줄에 Bold Headline이 보이고 그아래 Text가 보이는 형태의 PRESET이 선택 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텍스트를 Element가 나타납니다. 오른쪽의 Text Element를 더블 클릭하거나 왼쪽 UX Builder의 ‘Open Text Editor’을 클릭하면 워드프레스 기본 Editor가 나타납니다. HTML에 익숙하지 않은경우 워드프레스 기본 Editor를 활용해서 텍스트를 입력 합니다.

이제 이미지와 텍스트 입력이 모두 완료 되었습니다. 왼쪽 UX Builder 의 가장 윘쪽에 있는 ‘Text’ Element 는 우리가 UX Builder를 사용하기 전에 워드프레스 기본 Editor로 입력한 자료 입니다. 이 내용은 우리가 방금 만든 자료와 중복이 됩니다. 따라서 삭제를 해야 합니다. 오른쪽의 톱니바퀴를 클릭해서 메뉴가 나타나도록 합니다. 메뉴중 ‘Delete’를 클릭합니다. ‘Update’를 클릭 합니다.

위 과정까지 진행이 완료되면 화면 왼쪽상단의 X 아이콘을 클릭해서 UX Builder를 Close합니다.

현재까지의 작업내용을 Save하기 위해서 반드시 ‘Update’를 클릭해 주세요.

FrontPage에 가서 변경한 사항이 잘 적용 되었는지 확인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잘 적용이 되었습니다.

UX Builder를 통해서 새로운 Row를 추가해서 그것을 2개의 컬럼으로 나누고 컬럼의 PRESET으로 이미지와 텍스트가 나타나도록 설정해서 이미지, 텍스트 Element를 입력하는 과정을 함께 진행해 보았습니다. 또, 필요없는 ‘Text’ Element를 삭제하는 것도 해보았습니다.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면 아주 직관적인 UX(Use Experience)를 제공 합니다. UX Builder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다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UX Builder 자세히 알아보기 (영문자료)

 

 

UX Builder 를 이용한 FAQ 페이지 만들기

이전 단계에서 UX Builder 를 이용한 페이지 꾸미기를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이전과 같은 경우는 워드프레스 기본 Editor를 이용해서도 만들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UX Builder의 사용방법에 익숙해 지도록 도움을 드리기 위해서 진행한 과정 입니다. 그러나 FAQ페이지와 같은 경우는 페이지빌더가 없으면 만들기 어려운 기능적인 요소들이 있습니다. 이번과정에서는 FAQ페이지를 통해서 UX Builder를 조금더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ages> Add New 로 이동해서 FAQ페이지를 새로 만듭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페이지 이름을 FAQ라고 주고 ‘Publish’를 클릭 합니다. Save가 된 후 같은 화면에서 UX Builder를 클릭 합니다    ‘Add to Content’를 클릭합니다. (새 페이지를 만들고 처음 UX Builder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이미 만들어진 Template 페이지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시작을 할 수 있습니다. )   LAYOUT 중에서 ‘One Column Row’를 추가 합니다. ‘Add elements’를 클릭합니다.    UX Builder CONTENT Accordion을 클릭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Accordion item 3개를 가진 Accordion Element가 추가 됬습니다. 먼저, Accordion의 이름을 입력 합니다. 여기에서는 FAQ라고 입력 합니다. ‘Apply’를 클릭 합니다. Accordion item 1 을 클릭하면 왼쪽 UX Builder 컨트롤 판넬에 Accordion item 1의 질문을 입력하는 텍스트 박스가 나타 납니다.  여기에서는 ‘How to Order?’ 라고 입력 합니다.이름을 입력 합니다. 입력후에는 ‘Apply’를 클릭 합니다. 다음에는 Accordion item 1 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서 Add element를 클릭 합니다   ‘Text’를 클릭 합니다.   PRESET 중 하나를 선택 합니다. 여기서는 Paragraph를 선택 합니다.   Text 를 입력하기 위해서 Open Text Editor를 클릭 합니다.   Text 입력이 완료되면 ‘Apply’를 클릭 합니다.   위와 같은 과장을 반복해서 원하는 만큼의 FAQ항목을 만듭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Update’를 클릭 합니다.   UX Builder 를 Close 한 후 반드시 ‘Update’를 클릭해서 변경 사항을 Save를 하시기 바랍니다.   FrontPage 에서 작업 내용을 확인해 봅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많이 봤던 Accordion형식의 FAQ를 보실 수 있습니다.

UX Builder 를 이용한 Contact us 페이지 만들기

Contact us 페이지에는 보통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포함되게 됩니다.

  • Store Address(Google Map)
  • Business Hours
  • Email
  • Customer Support Phone
  • Contact Form

Pages> Add New 로 이동해서 Contact us페이지를 새로 만듭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페이지 이름을 Contact us라고 주고 ‘Publish’를 클릭 합니다. Save가 된 후 같은 화면에서 UX Builder를 클릭 합니다.   LAYOUT 중에서 One Column Row를 하나 추가 해줍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Map을 추가 합니다.   LAYOUT 중에서 One Column Row를 하나 추가 해줍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Map을 추가 합니다. 아래화면에서 위도(Latitude) 와  경도(Longitude)를 입력해 줍니다. Google Map에서 Latitude and Longitude 값 가져오는 방법 ‘Apply’를 클릭 해줍니다   Map을 추가한 Row 바로 아래에 2개의 Column을 가진 Row를 새로 추가 합니다. 왼쪽의  Column에 Accordion을 추가 해주고 Phone, Email, Business Hour등을 추가 합니다. 아래 화면을 참조하세요. (Accordion 사용방법은 이전 단계인 FAQ 페이지 만들기를 참조하세요)   오른쪽 Column에는 Contact Form을 추가 합니다. Add element 를 클리한 후 UX Builder 컨트롤 판넬에서 Form(CF7) 을 클릭 합니다.   사용가능한 Form 중 하나를 선택 합니다. (Contact Form 만드는 방법은 조금 있다가 설명 드리겠습니다. 여기에서는 먼저 ‘Contact Form 1’을 선택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오른쪽 Column에 Form이 입력이 됬습니다. Apply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UX Builder를 클릭하고 기본 Editor로 돌아가서 ‘Update’를  클릭합니다.   Frontpage에서 확인 한 Contact us 페이지 입니다.

Contact Form 만들기

Contact Form은 사용자들의 정보를 입력받고 소통을 하기위한 도구 입니다. 일반적으로 입력받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너무 많은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기 때문에 가능한 꼭 필요한 정보 위주로 간단하게 만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 이름
  • 이메일
  • 전화 (옵션)
  • 제목
  • 내용

Contact > Contact Forms 로 이동 합니다. 리스트된 Form중 하나를 선택 합니다. 여기서는 Contact form 1을 선택 했습니다(위 Contact us 페이지를 만들때 Contact Form 1을 선택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Contact Form 1을 가지고 설명 드립니다. Contact Form 1은 보통 Contact form 7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만들어져 있는 Form입니다.)   Preset 은 기본 Format을 미리 만들어 놓은 것 입니다. Copy & Paste로 쉽게 사용 가능 합니다. 여기서는 상단의 Tab중 Form을 클릭 합니다.   아래와 같이 Form의 입력 항목을 선택해서 실제 Form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Form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선택박스(여러개중 하나의 값을 선택), 라디오버튼, 체크박스등 다양한 Form element를 사용 가능 합니다. 보다 상세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여러분의 요구 사항에 맞도록 Form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원하는 위치에 마우스를 한번 클릭하고 위의 Form element중 하나를 클릭 합니다. 여기서는 Email 과 Subject 사이에 Tel을 추가하는 작업을 기준으로 Form을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Email 과 Subject 사이에 조금 공간을 두고 상단의 Form element중 ‘Tel’을 클릭합니다. 필수 항목이면 ‘Required field’를 클릭합니다. ‘Insert tag’를 클릭 합니다.   아래 (2)번 화면과 같이 이미 등록된 Form element 를 하나 Copy해서 제목을 Phone으로 변경하고 원래 항목 대신 방금 추가한 Tel 항목으로 변경 해주고 Save 를 합니다.   Email Tab을 클릭해서 이메일이 어떻게 전송될 것인지 설정 해줍니다..   Flatsome 디자인테마 구입하기

8. 메뉴만들기.

메뉴 만들기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워드프레스 메뉴만들기 

헤더와 푸터는 쇼핑몰의 어떤 페이지에서도 항상 보여지는 부분입니다. 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하게 보여지기 때문에 웹사이트를 사용하는데 자주 쓰는 기능과 컨텐츠들이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들어 메인메뉴, 마이페이지링크, 로고, 연락처, 쇼핑카트버튼등 입니다. 본 DIY 쇼핑몰따라하기 포스팅에서 설명드리고 있는 Flatsome Theme의 경우는 헤더와 푸터를 아주 세밀하게 설정 할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헤더설정 아래 화면과 같이 웹페이지 가장 상단 부분의 일정부분을 헤더라고 합니다. 헤더는 어떤 페이지를 오픈해도 똑같이 내용이 보여지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로고, 메인메뉴, 로그인, 쇼핑카트, 추가적인 메뉴등이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니 여러분의 개성에 따라서 다양하게 연출이 가능 합니다.    헤더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Flatsome > Theme Options로 이동합니다. (아래화면 참조)   아래 화면과 같이 Theme Options메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Flatsome의 경우는 워드프레스 커스터마이징 기본 화면에 Flatsome의 추가적인 설정 기능들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합니다. 이어서 설명드릴 푸터의 경우도 여기서 설정이 가능 합니다. 아래 화면에서 Header를 클릭 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헤더를 설정하는 모든 기능들이 왼쪽에 나열됩니다. 그리고 화면 오른쪽에는 실제 웹사이트가 위쪽에 보이고 아래쪽에는  Drag & Drop 설정 창이 보이게 됩니다. 직감적으로 아시겠지만 아래 부분에서 원하는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부분을 수정 할 수 있도록 되있습니다. 그럼, 중요기능들에 대해서 하나씩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Preset : 이부분은 일반적으로 쇼핑몰 에서 많이 사용하는 헤더타입들을 미리 만들어 놓고 그중 하나를 선택해서 빠르게 설정하도록 도움을 주는 부분 입니다. 아래 화면에서 왼쪽에 미리 정해진 헤더의 이미지가 보이는데 이중 마음에 드는 것을 하나 선택하신 후 Publish를 클릭하면 헤더가 변경이 됩니다. 보통 이 방법으로  헤더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선택된 헤더타입의 부분부분의 컨텐츠는 오른쪽 화면 하단의 원하는 부분을 클릭한 후 변경이 가능 합니다.   Logo & Site Identity : 로고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부분입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원하는 로고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로고의 위치 조정, 로고 주변의 여백조정등을 할 수 있으며 Favicon 설정도 여기서 가능 합니다. Top Bar : 헤더의 가장 윗부분을 Top Bar라고 합니다. 아래 화면의 왼쪽과 같이 높이 조절, 폰트 색상, 미리 정해진 스타일등의 설정을 변경 가능합니다. Top Bar는 3개의 컬럼으로 이미 정해져 있습니다. 아래에서 보듯이 맨 왼쪽에 자유롭게 컨텐츠를 넣을 수 있는 ‘HTML1’ 이 만들어져 있고 가운데 컬럼은 비어 있으며 맨 오른쪽 컬럼에는 ‘Top Bar Menu’ 와 ‘Social Icon’이 자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각각의 내용을 변경 하려면 해당 부분을 클릭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HTML1’ 에 본인이 원하는 내용을 입력 하려면 아래 화면 오른쪽 하단의 Top Bar안에 있는 ‘HTML1’을 클릭한 후 내용을 변경 하면 됩니다.   Header Main : 메인헤더 부분의 디자인을 변경하는 부분입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헤더의 넓이변경, 배경색 변경, 백그라운드 이미지 추가, 메뉴의 디자인 변경, 헤더의 높이 변경등 아주 세밀하게 디자인을 변경 가능 합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디자인으로 만들기 위해서 하나씩 테스트를 해보세요. 수정한 내용은 실시간으로 오른쪽에 나타납니다.   Header Bottom : 메인헤더 아래부분을 Header Bottom이라고 구분 합니다. 그러나 이부분은 앞서 설명드린 Preset의 종류에 따라서 보이기도 하고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 화면의 경우는 Header Bottom을 사용하는 Preset을 예로 들었습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Header Bottom부분에 메인 메뉴가 보이도록 설정이 되있습니다. 이때 Header Bottom의 높이 조절, 배경색 변경, 메인메뉴 디자인 스타일등을 변경 하 실 수 있습니다.   Header Sidebar / Mobile : 다른기기 특희, 모바일에서 웹사이트 디자인을 설정하는 부분 입니다. 우측 화면 중간 부분에 있는 Desktop, Tablet, Mobile을 클릭하면 각각의 기기에서 디자인이 어떻게 보이는지 미리 확인이 가능 합니다. 모바일에서의 해더의 높이, 로고위치, 메뉴아이콘의 스타일등을 설정 하고, 메뉴에 보일 항목도 수정이 가능 합니다. Sticky Header : Sticky Header 란? 마우스를 스크롤해서 현재 화면을 아래쪽으로 넘어갈때 헤더 부분이 화면에서 계속 나타나도록 고정 시켜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헤더의 3부분을 각각 설정이 가능 합니다. Sticky Header에서만 보이는 로고 설정, 높이 설정등이 가능 합니다.   Dropdown Style : 메인메뉴의 가장 상위 단계 바로 다음단계 부터의 디자인 설정을 합니다. 배경색 변경, 테두리색 변경, 하위메뉴가 나타나는 창의 테두리를 둥글게하는 설정, 하위메뉴에 마우스가 올려졌을때 효과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Buttons : 헤더에 2개의 커스텀 버튼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 버튼의 스타일, 링크, 색상등을 설정 가능 합니다. 버튼은 헤더의 상단, 메인, 하단의 원하시는 곳에 Drag & Drop방식으로 추가 할 수 있습니다. Account : 마이어카운트(마이페이지) 링크 부분의 디자인을 설정 합니다. 아이콘스타일, 회원가입링크의 표시여부등을 설정 가능 합니다. 아리어카운틑를 클릭하면 기본적으로 우커머스에서 기본적으로 재공하는 마이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러나, 여러분의 비지니스 요구사항에 맞는 커스텀 마이페이지를 만들고 그것을 링크 시키는 것도 가능 합니다. Cart : 쇼핑카트에 마우스를 가져가거나 클릭을 했을때 디자인 및 기능 설정을 하는 부분 입니다. 카트 부분의 디자인 스타일 선택, 카트 아이콘 선택등을 할 수 있습니다. 특희, 카트를 클릭했을때 바로 아래 Dropdown으로 카트 내용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방식 혹은 화면의 옆에 창을띄워 보여주는 방식등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Search : Search 폼을 추가하고 간단한 디자인 설정을 합니다 HTML : 헤더의 원하는 부분에 간단한 HTML을 추가합니다. 고급 사용자의 경우 자바스크립트도 추가 가능 합니다. 예를들어 현재시간을 알려주는 간단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등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 Contact : 간단한 Contact  정보를 입력하고 헤더의 원하는 부분에 보여 줄 수 있습니다.

  • Newsletter
  • Wishlist
  • Follow Icon

 

10. 쇼핑몰 프론트(홈) 페이지 디자인.

준비중입니다.

11. 상품진열 페이지 디자인.

준비중입니다.

12. 상품상세 페이지 디자인.

준비중입니다.

13. 마케팅관련 프러그인 설치.

1) 웹사이트 접속통계 플러그인 설치하기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접속자에 대한 통계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웹사이트를 접속한 사용자의 위치(국가), 어떤 검색엔진을 통해서 접속했는지, 어떤 키워드를 입력해서 접속을 했는지, 하루/일주일/한달간의 접속 통계는 어떻게 되는지…등의 통계 정보를 잘 모니터링 하면 웹사이트 컨텐츠를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 온라인 마케팅을 어떤 방향으로 해야 하는지 실마리(Clue)를 얻게 됩니다. 그래서 WP Statistics라는 유용한 웹사이트 접속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플러그인을 소개 해드립니다..

웹사이트 방문통계 플러그인(WP Statistics)설치 및 리포트보기

Plugins > Add New 를 클릭 합니다. weblog1   Keyword를 ‘wp statistics’라고 입력 합니다. 그런후 아래와 같이 리스트가 나오면 첫번째 플러그인인 WP Statistics의 ‘Install Now’를 클릭 합니다. weblog2   Activate’을 클릭합니다. weblog3   WP Statistics가 정상적으로 설치 된후 아래와 같이 WP Statistics > Overview를 클릭 합니다. weblog4   아래 그림과 같이 다양한 웹사이트 방문 통계 정보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weblog5

온라인 쇼핑몰을 시작전 생각해봐야 할 문제들

온라인 쇼핑몰을 시작전 생각해봐야 할 문제들

1.쇼핑몰을 시작하기전 생각해봐야 할 4가지

 

(1)누구에게 판매할것인지 ?

  • B2B (Business-to-Business), B2C (Business-to-Consumer) 인지 결정 합니다 : 사업체를 대상으로 할것인지 제품을 사용할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 온라인 쇼핑몰의 언어를 한국어로 할것인지 영어 혹은 다른 언어 할 것인지도 정합니다.
  • 어떤 지역에 판매 할 것인지?

 

(2)어떤 타입의 제품을 판매할 것인지?

  • Physical Goods :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모든 제품들을 말합니다.  (예) 의류, 신발, 건강식품, 핸드폰 악세서리, TV등.  일반적으로 배송이 필요한 제품들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 Digital Goods :  배송이 필요없고 디운로드 받거나 이메일로 제품을 Delivery 할수 있는 제품들을 말합니다. (예) Ebook, 음원화일, Software, Game 등.
  • Services :  제품이 아닌 서비스 혹은 가치를 판매하는 제품형식 입니다. (예) 컨설팅, 웹사이트 제작, 구매대행, 배송대행, 배달서비스 등.

 

(3)어떻게 판매할 제품을 조달할것인지?

  • Make ( 수작업제작 ) : 취미 혹은 전문 예술 작품등과같이 세상에 없는 유일한 제품을 만드는 방식 입니다. Physical Goods은 물론 Ebook 과 같은 Digital Goods도 해당 됩니다. 만약  자신이 특별한 무언가를 만드는 재능이 있다면 큰 부가 가치를 창출할수 있는 방식 입니다.
  • Manufacture ( 제조 ) :  자신의 제품 (브랜드)을 생산해줄 제조업체를 찾아서 제품을 생산해서 조달받는 방식입니다.  보다 자세한 방법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 Wholesale ( 리세일 ) : 이미 잘 알려진 브랜드 제품들을 도매가격 혹은 디스카운트된 가격에 구입해서  판매할 제품을 조달하는 방식입니다. 위험요소가 가장적은 방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 Dropship :  실제 제품은 Dropship 파트너가 가지고 있으며 손님에게 물건을 배송하는것도 Dropship 파트너 입니다. 즉, 고객에게 주문을받고 결제처리는 본인의 웹사이트에서 발생하고 배송은 Dropshop 파트너가 하는 방식입니다.
  • Affiliate 제품 (제휴마케팅제품):  실제 물건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고 제조회사들이 제공하는 Affiliate 제품을 내 쇼핑몰에 진열하는 방식의 제품조달 방법입니다. 대기업 혹은  꽤 큰 기업들 ,심지어 이제 시작하는 Start up들조차 자신들의 Affiliate 시스템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분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4)어떻게 경쟁자들로 부터 우위를 유지하고 고객을 유치할것인지?

  • Price ( 가격 ) : 경쟁자들에 비해서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방법을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 큰회사들과 경쟁해서는 승산이 없습니다. 본인만의 특별한 제품을 가지고 있다면 효과를 볼수 있는 방법 입니다.
  • Quality ( 품질 ) :  자신만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경우 품질은 판매의 가장 중요한요소 입니다. 잘 타게팅된 마케팅 채널과 훌륭한 품질을 함께 갖추고 있다면 판매에 결정적인 도움이 될것 입니다.

 

2.자신만의 쇼핑몰을 가질 것인가 ? 마켓플레이스를 활용 할 것인가?

[fusion_builder_container hundred_percent=”yes” overflow=”visible”][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lumn type=”1_1″ background_position=”left top” background_color=”” border_size=””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spacing=”yes” background_image=”” background_repeat=”no-repeat” padding=”” margin_top=”0px” margin_bottom=”0px” class=”” id=”” animation_type=”” animation_speed=”0.3″ animation_direction=”left” hide_on_mobile=”no” center_content=”no” min_height=”none”]

당연히 본인의 쇼핑몰을 가지고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처음에는 마케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2가지를 동시에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켓플레이스에서 발생하는 오더로 인연을 맺은 손님을 다양한 방법으로 본인의 쇼핑몰로 재 방문하게 하는 것입니다

 

3.자신만의 쇼핑몰을 만든다면, 임대형 솔루션? or 독립형 솔루션?

4.결론, 임대형인가? or 독립형인가?

어떤 방식이 좋다, 나쁘다 라고 단정 하기는 어렵습니다.
위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각자의 방식에는 장점 및 단점이 있습니다.
여러분의 상황에 맞게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아래 내용을 참조하시면 선택에 조금 도움이 되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  수수료와 커스터마이징 관련 제한 사항을 감수 하더라도 쇼핑몰 운영관련 된 부분을 크게 신경쓰지 않고 쉽고, 빨리사업을 운영하려면  Hosted Solution을 선택.
  • 커스터마이징이 많이 필요하고 온라인 비지니스를 점차적으로 확장할 계획인 경우  Self-hosted Solution을 선택.

임대형과 독립형을 시작하기 위해서 아래 2가지 링크 중 하나를 클릭하신 후 시작하 실 수 있습니다. 🙂

 

 [/fusion_builder_column][/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