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 Updated On: 2017-11-22)

워드프레스 설치가 완료됬으면 이제  꼭 필요한 기본 설정을 해야 합니다.
이 작업을 하는 순서는 디자인테마나 플러그인들을 설치 전에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설치 후에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능하면  설치 전에 하시는 것이 조금 편리합니다.
( 디자인테마나 플러그인들을 설치하면 일부 설정 화면들이 추가 될 수 있어서 조금 혼돈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설명드리는 내용들은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에서 필요한 설정들을 모두 나열 한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 나오는 설정을 무조건 다 변경하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필수)라고 별도로 표시한 항목이 아니면- 대부분 그대로 놔두셔도 문제가 없습니다. 단, 웹사이트를 조금 더 여러분의 Needs에 맞도록 커스터마이징 하기를 원하시면 각각의 항목들을 변경을 해보시고 또, Frontpage에서 확인 해 보시면 워드프레스를 보다 더 잘 사용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설정 화면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 General(일반설정): 웹사이트 제목, 언어선택등 일반적인 웹사이트 설정을 지원합니다.
  • Writing(쓰기설정): 기본 포스트 카테고리, 이메일관련 설정등을 지원합니다.
  • Reading(읽기설정): 웹사이트의 홈페이지 설정, 검색엔진 노출여부등의 설정을 지원합니다.
  • Discussion(토론설정): 사용자 댓글관련 설정을 지원합니다.
  • Media(미디어설정): 화일 업로드관련 설정을 지원합니다.
  • Permalink(고유주소설정): 웹사이트의 페이지와 포스트등의 URL구조 설정을 지원합니다.

아래는 위 설정 메뉴들을 각각 하나씩 설명합니다.

Web Hosting

 

General(일반설정)

워드프레스를 처음 설치후에는 몇가지 기본적인 세팅들을 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세팅들을 하기 위해서는 본인 웹사이트의 워드프레스 관리자 사이트로 접속을 하여야 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사이트 접속 방법은  여기를 참조하세요.[fusion_separator style_type=”none”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 top_margin=”” bottom_margin=””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fusion_fontawesome icon=”fa-play-circle” size=”” flip=”” rotate=”” spin=”no” alignmen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circle=”yes” iconcolor=”” circlecolor=”” circlebordercolor=””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fusion_fontawesome]관리자 사이트로 로그인 후 Settings > General을 클릭하세요. 

아래 내용중 (필수) 라고 되있는 부분은 반드시 확인하고 본인의 상황에 맞도록 수정 하세요

Site Title(사이트 제목) (필수) :  브라우져 (크롬,파이어폭스등 ….) 의 탭에 나타나는 웹사이트 제목을 입력 합니다SETTING1-1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Tag Line(태그라인)  : Site Title 뒤에 붙는 웹사이트를 설명하는 자신만의 특징있는 문장입니다. 옵션사항이고, 너무 길지 않도록 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WordPress Address : 서버에 실제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URL 입니다. 일반적으로 웹호스팅 회사에서 설정한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Site Address (필수) : 사용자들이 인터넷에서 본인의 웹사이트로 연결할 때 입력하는 URL입니다.  본인이 도메인을 http://mydomain.com ( mydomain.com 은 본인의 도메인 이름 ) 의 형식으로 입력하세요. 보통의 경우는 이미 웹호스팅 회사에서 설정해 놓은대로 두시면 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Email (필수) : 웹사이트에서 이메일을 받거나 보낼 때 기본이 되는 이메일을 입력하세요. 일반적으로 워드프레스를 설치할때 사용하셨던 이메일이 나타나는데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Membership(회원가입가능여부) (필수) : 회원가입이 가능한 사이트를 만드는 옵션 입니다. 회원가입이 필요 없는 사이트는 체크하지 마시고 그대로 두세요.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New User Default Role(새사용자를 위한기본규칙) : 새 회원이 가입 했을때 새 회원의 기본 권한을 자동으로 설정 하는 기능 입니다. 일반웹사이트는 ‘Subscriber’, 쇼핑몰의 경우는 ‘Customer’로 설정 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Timezone(시간대) (필수) : 본인이 위치한 지역의 시간대를 선택 하세요. ( 워드프레스는 전세계의 모든 지역의 시간대를 지원 합니다 )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Date Format(날짜표시형식) : 웹사이트에서 날짜를 보여주는 형식을 지정할수 있습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Time Format(시간표시형식) : 웹사이트에서 시간을 보여주는 형식을 지정할수 있습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Week starts on(시작요일) : 일반적으로 월요일로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Site Language(언어선택) (필수) : 본인이 원하는 언어를 선택 하세요. 워드프레스는 전세계의 거의 모든 언어를 지원합니다. 처음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영어로 설치가 됩니다. 이 설정을 바꾸면 웹사이트 전체가 선택한 언어로 변경  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Writing(쓰기설정)

[fusion_separator style_type=”none”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 top_margin=”” bottom_margin=””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Default Post Category설정 정도만 변경해주면 특별히 신경 쓸 부분은 없습니다.

[fusion_fontawesome icon=”fa-play-circle” size=”” flip=”” rotate=”” spin=”no” alignmen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circle=”yes” iconcolor=”” circlecolor=”” circlebordercolor=””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fusion_fontawesome]관리자 사이트로 로그인 후 Settings > Writing을 클릭하세요.

Default Post Category  : 보통 ‘Uncategorized’로 설정되 있습니다. 이것을 여러분이 만든 기본 카테로기로 변경하세요. 그러면, Uncategorized 커테고리를 삭제 할 수 있습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Default Post Format  : 포스트를 작성 할 때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형태를 설정 합니다. 보통 ‘Standard’로 그대로 두면 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Post via Email : 워드프레스 관리자에서 포스팅을 작성하지 않고 이메일을 통해서 포스팅을 하는 방식입니다. 향후에 워드프레스에서는 이 기능을 삭제할것이라 발표했습니다.  .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Updates Services : 본인의 웹사이트에 새로운 포스트가 추가되거나, 기존의 포스트가 변경이 되는 경우 이러한변경사실을 인터네세에 널리 퍼트려주는 서비스를 해주는 웹사이트를 등록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Reading(읽기설정)

[fusion_separator style_type=”none”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 top_margin=”” bottom_margin=””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Search Engine Visibility를 반드시 체크마크를 빼야만 검색엔진에서 정상적으로 보여지게 됩니다.

[fusion_fontawesome icon=”fa-play-circle” size=”” flip=”” rotate=”” spin=”no” alignmen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circle=”yes” iconcolor=”” circlecolor=”” circlebordercolor=””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fusion_fontawesome]관리자 사이트로 로그인 후 Settings > Reading을 클릭하세요.

 

Blog pages show at most : 기본 Blog 페이지에서 가장 최근 몇개의 포스팅을 보여줄지 설정 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Default Post Format  : Data Feed에서 가장 최근 몇개의 포스팅을 보여줄지 설정 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Post via Email : Data Feed의 최근 포스팅 리스트에서 내용 전체를 보여 줄 것인지 Summary 정보를 보여 줄 것인지 설정 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Updates Services : 검색엔진에서 정상적으로 보여지게 하려면 반드시 체크마크를 빼줍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Discussion(토론설정)

보통은 Disable Comments 라는 플러그인(무료)을 설치해서 일반페이지와 포스트페이지에서 댓글 관련 기능을 컨트롤하게 됩니다 (설정이 보다 간단 합니다). 아래는 워드프레스 기본설정을 이용 한 댓글 설정 방법입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none”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 top_margin=”” bottom_margin=””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fusion_fontawesome icon=”fa-play-circle” size=”” flip=”” rotate=”” spin=”no” alignmen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circle=”yes” iconcolor=”” circlecolor=”” circlebordercolor=””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fusion_fontawesome]관리자 사이트로 로그인 후 Settings > Discussion을 클릭하세요.

 

Default Article Settings : 개별 블로그의 설정이 여기의 설정보다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 Attempt to notify any blogs linked to from the article : 글에서 링크한 블로그에 링크 사실을 알림
  • Allow link notifications from other blogs (pingbacks and trackbacks) on new articles : 
  • Allow people to post comments on new articles :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Other comment settings : Data Feed에서 가장 최근 몇개의 포스팅을 보여줄지 설정 합니다.

  • Automatically close comments on articles older than () : 지정한 날짜보다 오래된 포스팅은 댓글을 자동으로 닫습니다.
  • Enable threaded (nested) comments : 댓글의 댓글을 달때 몇단계의 레벨까지 허용할 것인지 설정 합니다
  •  Break comments into pages with top level comments per page and the page displayed by default Comments should be displayed with the comments at the top of each page : 각 페이지당 ()개의 댓글이 나타나도록 합니다. 가장 (최근 혹은 오래된) 댓글이 보이도록 합니다. 각 페이지의 상단에 이전 댔글이 보여지도록 설정 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Email me whenever : 다음과 같은 설정이 되있으면 관리자에게 이메리을 보냅니다.

  • A comment is held for moderation : 코멘트가 입력되고 댓글컴토목록에 나타나면 무조건 이메일을 보냅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Before a comment appears :

  • Comment author must have a previously approved comment : 이전에 승인된 코멘트 작성자에 한해서만 코멘트가 자동으로 보여집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Comment Moderation :

  • 단어, IP, URL, 이름등을 미리 지어하고 해당되는 코멘트는 댓글검토목록 리스트로 보냅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Comment Blacklist :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Avata Display :

  • Show Avata : 아바타를 보여줍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Maximum Rating :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Default Avatar :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Media(미디어설정)

[fusion_separator style_type=”none”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 top_margin=”” bottom_margin=””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특별히 수정 할 설정은 없습니다. 기본 설정 그대로 사용하셔도 별 문제가 없습니다.
[fusion_fontawesome icon=”fa-play-circle” size=”” flip=”” rotate=”” spin=”no” alignmen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circle=”yes” iconcolor=”” circlecolor=”” circlebordercolor=””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fusion_fontawesome]관리자 사이트로 로그인 후 Settings > Media 클릭하세요.

Image Size : 이미지의 기본 크기를 정해 줍니다.
Uploading Files : 이미지를 업로드 할 때 폴더를 년,월로 구분해서 따로따로 저장하도록 해 줄 수 있습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Permalink(고유주소설정)

[fusion_separator style_type=”none”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 top_margin=”” bottom_margin=””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fusion_fontawesome icon=”fa-play-circle” size=”” flip=”” rotate=”” spin=”no” alignmen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circle=”yes” iconcolor=”” circlecolor=”” circlebordercolor=””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fusion_fontawesome]관리자 사이트로 로그인 후 Settings > Permalink 클릭하세요.

Common Setting : Permalink 설정은 여러분의 페이지나 포스트의 URL 구조를 결정해 줍니다. 일반적으로 ‘Post name’으로 설정을 해주면 가장 문제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디자인테마와 플러그인들이 이설정을 기본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관련해서도 가장 적합한 설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Optional  : 옵션 사항입니다. 카테고리나 태그의 앞에 Prefix를 붙여주는 것입니다. 예) 카테고리 Base를 ‘Topic’이라고 지정해주면 모든 카테고리의 Permalink에 /Topic/이라는 Prefix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dotte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828080″ top_margin=”10″ bottom_margin=”10″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fusion_separator]

 

Web Ho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