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그라운드는 가성비가 가장 좋은 워드프레스 웹호스팅 회사로써 워드프레스 공식 웹사이트는 물론, 저희도 추천해드리는 웹호스팅 회사 중 하나입니다. 가격은 저렴하면서 워드프레스에 최적화된 웹호스팅 환경과 좋은 성능을 제공해 줍니다. 특희, 각각의 대륙별(미주,유럽,아시아)로 데이터 센터가 있어서 지리적인 거리상 속도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줍니다. 사이트그라운드의 자세한 설명은 SiteGround 웹호스팅 구입 및 설정 방법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 은 cPanel 이라는 웹호스팅 관리툴(대부분의 외국 웹호스팅 회사들이 제공 합니다)을 제공합니다. cPanel은 복잡한 웹호스팅 서버관리를 쉽고 간편한 UI를 통해서 사용가능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본 시리즈 포스팅은 총 6개의 Part로 나누어서 포스팅 됩니다.
- cPanel 접속하기 + 도메인관리 및 연결 (이번포스팅 주제 입니다)
- 이메일 계정 생성 및 관리
- 웹사이트 백업 및 복구 방법
- 워드프레스 설치 및 관리
- FTP 사용방법 및 파일관리자 사용방법
- SSL 설치 및 웹사이트에 적용 방법
cPanel 접속하기
먼저 사이트그라운드로 이동하신 후 로그인을 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My Account’를 클릭 합니다.
그런후, ‘Go to cPanel’을 클릭 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과 같이 ‘cPanel 메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도메인관리 및 연결
위 화면과 같이 cPanel에서는 도메인을 관리하는 기능들을 별도의 ‘DOMAINS’ 라는 Section으로 모아 두었습니다.
위 기능들을 하나씩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Subdomains : 서브도메인이란? 메인도메인 앞에 나타나는 이름입니다. 예를들어 www.mydomain.com 이라는 메인 도메인이 있는데 여기에 ‘store’ 이라는 서브도메인을 새로 만들고 여기에 새로운 웹사이트를 메인 웹사이트와 별도로 만들 수 있습니다. 서브도메인에 있는 웹사이트로 연결 하려면주소를 store.mydomain.com 으로 입력 하시면 됩니다.
서브도메인을 추가 하려면 Subdomains 버튼을 클릭 합니다. 아래 화면 처럼 서브도메인을 추가하려는 메인 도메인(여러개의 도메인을 사용중인 경우)을 선택 한 후 서브 도메인 이름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이때, Document Root를 통해서 해당 서브도메인이 사용 할 폴더를 새로 만들게 됩니다. 아래의 예는 ‘wp-howto.com’ 이라는 메인 도메인에 ‘store’라는 서브도메인을 만들면서 ‘store’라는 폴더를 새로 만드는 경우 입니다. 보통 Web root directory에 서브도메인이름을 사용해서 자동으로 제안을 해 줍니다. 폴더이름을 변경하고자 할때만 아래 ‘public_html/’ 이후의 이름을 변경하시면 됩니다.
Addon Domains : Primary 도메인(웹호스팅 구입시 설정한 도메인이름) 이외에 추가적으로 새로운 도메인을 추가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도메인을 이미 다른 곳에서 구입하신 후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을 통해서 웹사이트, 이메일, FTP등의 서비스를 받으시는 경우에 사용하시는 기능 입니다. Addon 도메인을 등록하면 다음과 같은 일들이 가능 합니다.
-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을 통해서 해당 도메인으로 웹사이트를 만들고 운영 할 수 있습니다.
-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을 통해서 해당 도메인으로 이메일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을 통해서 해당 도메인으로 FTP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Addon Domain을 추가 하시려면 Addon Domains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은 ‘mydomainname.com’이라는 도메인을 추가하는 예를 든 것입니다.
New Domain Name : 새로추가하려는 도메인 이름을 ‘www’ 혹은 ‘http://’를 제외하고 도메인 이름만 입력 합니다.
Subdomain or FTP Username : 위에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변경도 가능 합니다만, 향후에 혼돈이 될수도 있으니 그대로 두시는것이 좋습니다.
Document Root : 해당 도메인이 사용할 폴더를 자동으로 지정해 줍니다. ‘/public_html/’ 이라는 Web root directory에 ‘mydomainname.com’이라는 도메인이름으로 폴더를 만들어 줍니다.
Password : 비밀번호를 입력하시고 다시 한번 확인 입력 합니다.
Add Domain : Add Domain 버튼을 클릭하면 Addon Domain의 등록이 완료 됩니다.
(참조) Addon Domain을 추가 하려면 이미 도메인 구입을 해두셔야 합니다. 이미 구입한 도메인을 사이트그라운드 웹호스팅에 연결하는 기능이 Addon Domains기능 입니다.
(중요) Addon Domain을 추가 하려면 도메인을 구입하신 Regieter회사에서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로 변경을 해주셔야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Simple DNS Zone Editor 와 Advanced DNS Zone Editor에서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Parked Domains : Parked 도메인이란? 다른 도메인이름을 가지고 같은 웹사이트로 보여지게 할때 사용하는 기능 입니다. 예를들어 내 메인 웹사이트 주소가 www.mydomainname.com 이라고 가정하고 www.mydomainname2.com을 입력해도 www.mydomainname.com으로 자동으로 이동되게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경우도 해당 도메인은 이미 구입이 되있어야 하고 네임서버도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로 세팅이 되있어야 합니다.
아래 화면 처럼 Parked 도메인을 등록하고 Redirect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Redirects : Parked 도메인 혹은 Addon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다른 도메인이름을 가지고 같은 웹사이트로 보여지게 할때 사용하는 기능 입니다. 예를들어 내 메인 웹사이트 주소가 www.mydomainname.com 이라고 가정하고 www.mydomainname2.com을 입력해도 www.mydomainname.com으로 자동으로 이동되게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화면은 ‘testmydomainname.com’이라는 도메인 이름을 ‘mydomainname.com’으로 redirect하는 예 입니다. 즉, 사용자가 브라우져에서 ‘testmydomainname.com’이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mydomainname.com’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주의) Redirect to 도메인이름을 입력할때는 도메인 이름앞에 ‘http://’를 입력해 야 합니다. 이렇게 설정한 Redirect는 향후에 필요가 없을때는 삭제도 가능합니다.
Domain Transfer : Domain Transfer는 다른 Register 회사에 등록된 도메인이름을 사이트그라운드로 이전해 오는 기능 입니다. Domain Transfer는 그 과정이 상당히 복잡합니다. Addon Domain등록을 통해서 이미 도메인의 컨트롤을 사이트그라운드로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에 Domain Transfer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Register New Domain : Register New Domain은 새로운 도메인을 등록하는 기능 입니다. .com 도메인의 경우 1년 $14.95에 사용이 가능 합니다. co.kr 혹은 .kr은 구입 할 수 없습니다. co.kr 혹은 .kr은 한국의 도메인등록 회사에서 구입 한 후 Addon Domains 기능을 통해서 사이트그라운드로 컨트롤을 가져와서 사용하게 됩니다.
아래 화면에서 Choose Domain에 원하는 도메인이름을 입력 후 Check Domain을 클릭 합니다.
만약 입력하신 도메인이름이 구입 가능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CHOOSE YOUR SERVICE: 이미 웹호스팅 서비스를 구입하신 경우이기 때문에 ‘Register the Domain Name only‘ 를 클릭 합니다.
PRODUCT INFORMATION: ‘Domain Privacy’ 옵션의 체크를 해제 합니다.
PAY NOW를 클릭 합니다.
Domain ID Protect : 기본적으로 도메인 등록자의 정보는 공개가 원칙 입니다. 그러나,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 정보를 공개하지 않기를 원하시는 경우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보통 한달 $1정도의 비용을 부과하고 서비스를 제공해 줍니다.
Domain Manager : 현재 사이트그라운드 호스팅 어카운트에 등록되 있고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모든 도메인을 리스트 해줍니다.
Simple DNS Zone Editor : DNS란? 보통 한국에서는 네임서버라고 표현합니다. 네임서버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도메인이름(URL)을 가지고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버를 말합니다. 즉,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를 사용한다고 도메인을 등록한 회사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한국의 가비아라는 도메인 등록 회사에서 도메인을 구입하고 웹호스팅 서비스는 사이트그라운드를 사용 하는 경우에는 가비아의 도메인 설정 정보에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 정보를 입력 해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도메인을 브라우져에 입력하면 가비아의 도메인등록 초기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것 입니다.
조금 설명이 복잡해 졌는데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사이트그라운드의 네임서버 정보를 가비아에 입력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참조) Simple DNS Zone Editor의 사용 방법은 Advanced DNS Zone Editor에서 모두 커버를 하기 때문에 생략 합니다.
Advanced DNS Zone Editor : 이기능을 통해서 네임서버의 상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웹사이트는 사이트그라운드에서 서비스를 받고 이메일은 다른 회사에서 서비스를 받는다면 여기서 이메일 관련 A record 를 이메일 서비스 회사에서 제공한 정보대로 추가하고 part2에서 설명드릴 EMAIL 관련 Section에서 MX Record를 추가하면 됩니다. 이와 같이 도메인이 어떤 서비스를 어떻게 받는지를 설정 해주는 기능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먼저 아래 화면에서 DNS 설정을 변경하기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도메인을 선택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원하는 Type의 Record를 등록 해주면 화면 하단의 리스트에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아래화면의 Type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A Record 와 CNAME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A Record : 하나의 IP Address에 지정된 이름 입니다. 즉, mail 이라는 이름을 내 도메인을 통해서 특정 IP Addres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지정하도록 설정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mail.mydomainname.com을 입력하면 사이트그라운드가 아닌 다른 이메일 서비스 회사의 서비스를 사용 가능 한 것 입니다. 이때 IP Address는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정보를 제공 합니다.
- CNAME : A Record가 하나의 IP Address에 지정된 이름인 반면, CNAME은 이미 등록된 이름에 다른 이름을 또 지정하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쉽게 이해가 가능 합니다. 브라우져에서 mydomainname.com 이라고 입력하면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오픈되는데 www.mydomainname.com이라고 입력하면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고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경우 www을 CNAME으로 등록 해주면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나타납니다. 여기서 mydomainname.com은 A Record로 지정되 있는 상태이고 이것을 CNAME으로 다시 지정 한 것입니다.
- 잘 이해가 가지 않으 실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서비스를 실제로 어떤 값을 입력해야 하는지를 서비스 제공 회사에 문의 하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사이트그라운드에서 웹사이트는 서비스를 받는데 이메일 서비스는 카페24에서 받는다면 카페 24에 DNS 설정을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지를 문의 하시면 됩니다.